관계대명사 생략 완전 정복
Contents Table
관계대명사는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문법 요소이지만, 종종 헷갈리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특히 “관계대명사 생략”은 상대적으로 쉬워 보이지만,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문장 전체의 의미를 파악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관계대명사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 실제 예문까지 두루 살펴보며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영어 문법 속 관계대명사의 이해
영어에서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는 앞에 나온 명사를 수식하거나 해당 명사(선행사)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흔히 that, which, who, whom, whose 등으로 사용되며, 이 관계대명사를 중심으로 뒷부분에 절(절: 주어와 동사가 있는 덩어리)이 이어지는 형태가 됩니다. 예를 들어,
- The man who is standing over there is my uncle.
→ “저기 서 있는 남자는 내 삼촌이다”에서 “who is standing over there”는 man을 수식해 주는 관계절입니다.
이와 같은 문장에서, 관계대명사는 문장을 연결해주고 정보를 더욱 구체적으로 만들어줍니다. 그러나 때로는 목적격일 때 관계대명사가 생략되어도 문장이 자연스레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오늘의 핵심 주제, 관계대명사 생략입니다.
2.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기능
관계대명사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Subjective Relative Pronoun)
- 예: who, which, that
- 예문: The dog that barks at strangers is very protective.
- 여기서 that(주격)은 주어 역할을 하며, barks는 동사 역할을 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Objective Relative Pronoun)
- 예: whom, which, that
- 예문: The person whom you met yesterday is my best friend.
- 여기서 whom(목적격)은 만난 대상이므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문장에서 종종 who로도 대체됩니다(비격식).
- 소유격 관계대명사 (Possessive Relative Pronoun)
- 예: whose
- 예문: The student whose book was lost came to the office.
이처럼 관계대명사는 문장 내에서 “누가, 무엇을, 누구의 것인지”를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그런데 이 중에서 특히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생략이 가능합니다. 즉, 관계대명사 생략이 주로 목적격 관계대명사에서 발생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3. 목적격 관계대명사 생략의 기본 원리
우선, “관계대명사 생략”은 관계절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는 관계대명사가 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선행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주어 + 동사)…”라는 형태가 있을 때, 그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빠져도 문장이 성립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The movie that I watched yesterday was amazing.
- The movie I watched yesterday was amazing.
위 두 문장은 의미가 동일하며, 둘 다 자연스럽게 사용 가능합니다. 이때,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 역할을 했으며, 생략해도 “I watched yesterday”라는 구절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어제 내가 봤던 영화”라는 의미가 전달됩니다. 이것이 바로 “관계대명사 생략”입니다.
왜 생략이 가능할까?
- 명백한 목적어가 있기 때문:
관계절 내부에서 이미 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대명사나 명사가 누가 하는지 명확할 때, 굳이 that(or which, whom)을 남겨둘 필요가 없습니다. - 문장 간결화:
영어에서 구어체나 일상적인 글쓰기에서는 문장을 더욱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따라서 의미가 명확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목적격 관계대명사 생략 시 주의점
관계대명사 생략은 간단해 보이지만,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 문맥상 혼동이 없어야 함
문장에서 어떤 대상을 말하는지 모호하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그대로 둬야 합니다. 예컨데 뒤따르는 절이 복잡하거나, 수식 대상이 여러 개 있는 경우에는 생략하지 않는 편이 문맥이 더 명확해집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는 함부로 생략 불가
목적격 관계대명사와 달리, 주격 관계대명사는 해당 절의 주어 역할을 하므로 함부로 생략하면 문장 자체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예: The man who loves music is my friend. → The man loves music is my friend. (X)
여기서 “who”는 주격이므로 생략 시 문장 구조가 깨집니다.
- 잘못된 예: The man who loves music is my friend. → The man loves music is my friend. (X)
- 시험이나 공식 문서에서는 명확성이 우선
영어 시험 문제나 에세이 등에서는 문법적으로 좀 더 명확한 표현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구어체나 비공식 글에서는 관계대명사 생략이 자연스럽지만, 격식을 차리는 글에서는 생략을 덜 하는 편입니다.
5. 주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가능성
일반적으로 주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 구어체나 특정 경우에는 주격 관계대명사가 사실상 탈락처럼 느껴지는 문장이 있습니다. 다만 이는 문법적으로 엄밀히 보면 분사구문으로 바뀌거나 연결사가 축약되는 케이스와 비슷한 맥락입니다.
예를 들어,
- The man who is reading a book is my father.
- The man reading a book is my father.
위 두 문장은 의미상은 동일하지만, 두 번째 문장은 사실상 “관계대명사 생략”이라기보다는 현재분사(reading)를 사용해 수식하는 형태에 가깝습니다. 즉, 관찰자 입장에서는 비슷해 보이지만, 문법적 구조가 조금 다릅니다. 따라서 주격 관계대명사를 단순히 ‘생략’한다고 부르기보다는, 분사구문화로 이해하는 편이 낫습니다.
6. 관계대명사 생략과 구어체 표현
영어를 실제로 구사할 때, 특히 구어체에서는 “관계대명사 생략”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 The restaurant (that) we went to last night was fantastic!
- The books (which) you bought are on the table.
- The girl (who) I talked to yesterday is my classmate.
이런 문장들에서 괄호 안에 있는 that, which, who 같은 관계대명사는 목적격일 경우 쉽게 생략됩니다. 실제 원어민 대화나 드라마, 영화 대사를 살펴보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쏙 빼고 말하는 경우가 훨씬 흔합니다.
7. 자주 쓰이는 예문
아래 예문들을 통해 “관계대명사 생략”을 좀 더 체계적으로 익혀봅시다.
- 목적격 that
- The cake (that) I baked this morning tastes sweet.
- 해석: 오늘 아침에 내가 구운 케이크는 달콤하다.
- The cake (that) I baked this morning tastes sweet.
- 목적격 which
- The car (which) I rented broke down on the highway.
- 해석: 내가 빌린 차가 고속도로에서 고장 났다.
- The car (which) I rented broke down on the highway.
- 목적격 who/whom
- The teacher (whom) the students respect the most is Mrs. Brown.
- 해석: 학생들이 가장 존경하는 선생님은 브라운 선생님이다.
- 구어체에서는 whom 대신 who를 쓰는 경우도 많고, 생략하는 경우도 일반적입니다.
- The teacher (whom) the students respect the most is Mrs. Brown.
- 전치사가 문장 끝에 있을 때
- The person (who) I was talking about is right here.
- 해석: 내가 말하던 그 사람이 바로 여기 있다.
- 전치사가 문장 뒤로 가는 영어 특성상, 관계대명사 역시 자연스럽게 생략 가능합니다.
- The person (who) I was talking about is right here.
위 예문들은 모두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며, 이때 관계대명사 생략이 문장을 단순화해주고 보다 유창하게 만들어 줍니다.
8. 관계대명사 생략이 가져다주는 이점
- 문장 간결화:
“관계대명사 생략”은 문장을 좀 더 간결하고 읽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예: The movie (that) I saw → 더 짧고 자연스럽게 전달.
- 자연스러운 구어체:
영어권 사람들, 특히 미국이나 영국에서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는 관계대명사 생략을 선호합니다. 너무 교과서적인 표현을 쓰면 오히려 어색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 문장의 흐름 개선:
불필요한 단어를 줄임으로써 핵심 메시지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영어 글쓰기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명확성”과 “간결성”의 원칙을 충족하기도 합니다. - 학습 효율 상승:
외국어 학습에서, 복잡한 문법 구조를 체화하려면 종종 까다롭습니다. 그러나 “관계대명사 생략”을 활용하면, 실무나 실생활에서 실제로 쓰는 문장을 더 빨리 습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관계대명사 생략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에 적용될 때, 영어 문장을 더 간결하게 만들어주며, 구어체에서 특히 자주 쓰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주격 관계대명사는 생략이 사실상 어렵다는 점과, 공적인 글쓰기에서는 지나친 생략을 피해야 한다는 점도 함께 알아두면 좋습니다.
영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맥락에 맞게 자연스러운 표현을 구사하는 것입니다. 관계대명사 생략을 무조건 쓰기보다는, 현재 쓰고자 하는 문장이 구어체인지, 공식 문서인지, 시험인지 등을 고려해서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야 문법적 정확성과 실용성을 모두 챙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