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동사 뜻이 무엇인가 (개념, 특징, 종류)
Contents Table
구동사(Phrasal Verb)는 영어에서 특히 난이도가 높은 영역 중 하나로 꼽힙니다. 구동사 뜻은 동사 하나만 달랑 외우면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동사 뒤에 따라오는 전치사나 부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동사는 일상적인 회화뿐 아니라 글쓰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므로, 고등학생 수준에서부터 고급 영어 학습자에 이르기까지 반드시 숙지해야 할 문법적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동사의 정의부터 다양한 예시, 분류, 그리고 효율적인 학습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가능한 한 쉽게 설명하되, 깊이 있는 학습을 원하는 분들을 위해 세부 사항도 함께 다루겠습니다.
구동사 뜻
구동사 뜻은 “구+동사” 라는것에 포인트가 있습니다. 보통 동사와 전치사 혹은 동사와 부사가 결합하여 하나의 의미 단위로 사용되는 표현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look up”이나 “take off”, “give in” 등이 대표적인 구동사입니다. 어떤 동사라도 뒤에 특정 전치사나 부사가 붙으면 원래 동사가 가진 의미와는 전혀 달라질 수 있습니다. “take”의 기본 의미는 “잡다, 취하다” 정도지만, “take off”는 “이륙하다” 혹은 “옷을 벗다”처럼 완전히 다른 구동사 뜻으로 쓰일 수 있지요.
구동사 뜻을 알더라고 학습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동사와 전치사(또는 부사)의 조합에 따라 구동사 뜻이 크게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look up”은 “올려다보다”, “(사전이나 자료를) 찾아보다”라는 뜻이 있는가 하면, “look after”는 “돌보다”가 되고, “look forward to”는 “고대하다, 기대하다”가 됩니다. 단지 “look + 전치사”라는 형태만 알고 있다고 해서 의미를 자유자재로 해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구동사는 그 자체를 하나의 표현으로 암기하고, 실제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예문과 함께 익히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구동사의 구조
구동사는 크게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 동사(Verb): 예를 들어 “take”, “look”, “give”, “put”, “run” 등의 일반 동사.
- 부사(Adverb) 또는 전치사(Preposition): “off”, “up”, “in”, “on” 등.
- 목적어(Object): 구동사에 따라 목적어가 필요한 경우도 있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
- “take off”: 동사(take) + 부사(off)
- “look into”: 동사(look) + 전치사(into)
- “put up with”: 동사(put) + 부사(up) + 전치사(with)처럼 세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사도 있습니다.
이처럼 구동사는 한 단어가 아니라, 동사와 전치사 혹은 부사가 결합한 ‘표현’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구동사의 의미와 특징
- 일상생활에서의 빈도 높음.
구동사는 흔히 구어체에서 매우 자주 쓰이지만, 그 중요성이 회화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소설, 에세이, 기사 등에도 자주 등장하므로 쓰임새가 넓습니다. - 의미의 탈동사화
구동사는 동사 자체의 기본 의미를 이탈해 완전히 새로운 뜻을 갖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give up”은 “포기하다”라는 의미로, “give”와 “up”이 각자 가진 본래의 뜻(“주다”와 “위로”)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단순히 단어를 조합하는 방식으로는 구동사 뜻 파악이 쉽지 않습니다. - 위치 이동
일부 구동사는 목적어의 위치가 동사와 부사(혹은 전치사)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분리 가능 구동사). 예: “turn on the light”와 “turn the light on”은 같은 의미입니다. 그러나 모든 구동사가 이런 구조를 허용하지는 않습니다(불가분 구동사). 이 점은 뒤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구동사의 분류: 분리 가능성과 분리 불가능성
분리 가능 구동사(Separable Phrasal Verbs)
구동사 중 일부는 목적어가 오면 동사와 부사(전치사)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turn on”을 들 수 있습니다. “turn on the TV”라고 해도 되고, “turn the TV on”이라고 해도 의미가 동일합니다.
예시:
- “I turned on the TV.” = “I turned the TV on.”
- “She picked up the phone.” = “She picked the phone up.”
목적어가 대명사(예: “it”, “them” 등)일 경우, 보통 동사와 부사 사이로 대명사를 끼우는 게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turn it on”, “pick them up”처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분리 불가능 구동사(Inseparable Phrasal Verbs)
반면 어떤 구동사는 아무리 목적어가 있어도 절대 분리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look after”는 “돌보다”라는 의미의 구동사인데, 목적어가 들어가더라도 “look after my dog”와 같은 형태를 바꿀 수 없습니다.
*“look my dog after”라는 표현은 문법적으로 틀린 표현이 됩니다.
예시:
- “I will look after the children.” (O)
- *“I will look the children after.” (X)
자동사 구동사(Intransitive Phrasal Verbs)
구동사 중에는 목적어가 아예 필요 없는 것들도 있습니다. 예: “The plane took off.”에서 “took off”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고 스스로 완결되는 구동사 형태입니다. 여기서 “off”를 다른 위치로 옮길 수도 없고, 목적어가 들어갈 자리도 없습니다.
예시:
- “The plane took off at 7 PM.”
- “The bomb went off unexpectedly.”
이러한 분류를 이해하면 구동사를 훨씬 수월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어떤 구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고 분리 가능하기도 하고, 어떤 구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만 분리 불가능합니다. 또 어떤 구동사는 목적어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됩니다.
구동사 학습 시 주의점
의미의 다양성
대부분의 구동사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take off”의 경우 “이륙하다”, “옷을 벗다”, “급격히 인기를 얻다” 등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학습할 때 무작정 하나의 구동사 뜻만 외우기보다, 구동사가 가진 대표적 구동사 뜻들을 문맥과 함께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치사와 부사 구분 구
동사에 따라 뒤에 오는 단어가 전치사인지 부사인지에 따라 문장 구조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look up to”는 누군가를 존경한다는 의미이고, 이때 “to”는 전치사입니다. 그러나 “look up (a word)”는 “단어를 찾아보다”에서 “up”은 보통 부사로 취급됩니다. 이런 미묘한 차이를 인지하지 못하면 오용하기 쉽습니다.
강조되는 부분
구동사에 붙는 부사는 문장에서 ‘방향’이나 ‘강조’ 등 다양한 의미적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out”이 붙으면 밖으로 나감, 혹은 완전히 제거함 등을 나타낼 수 있고, “up”이 붙으면 위로 이동 혹은 완료의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간단한 듯 보이지만 이 부사나 전치사가 가지는 미묘한 기능을 파악하면 구동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자주 쓰이는 구동사 예시
아래는 고등학교 수준부터 실생활까지 자주 쓰이는 구동사들입니다. 이들의 여러 구동사 뜻을 함께 익혀두면 영어 문장 해석과 회화에서 도움이 됩니다.
- Take off
- 이륙하다: “The plane took off on time.”
- 옷을 벗다: “He took off his jacket.”
- 급격히 인기를 얻다(사업 등이 갑작스레 성장): “Their new product took off and became a bestseller.”
- Put on
- 옷을 입다: “She put on her coat.”
- (연극·공연 등을) 개최하다: “They put on a great show last night.”
- 태도를 가장하다: “He’s just putting on an act.”
- Look forward to
- ~을 기대하다, 고대하다: “I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you.”
- 전치사 “to” 뒤에 동명사가 온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look forward to + 명사/동명사” 구조를 숙지해 두세요.
- Look up
- 찾아보다: “I looked up the word in the dictionary.”
- 올려다보다: “She looked up at the sky.”
- Bring up
- (화제·이야기를) 꺼내다: “She brought up an interesting topic during the meeting.”
- (아이를) 기르다: “They brought up four children.”
- Give up
- 포기하다: “He gave up smoking.”
- 항복하거나 굴복하다: “They refused to give up even when things got tough.”
- Pick up
- 집어 들다: “Pick up the book from the floor.”
- 데리러 가다: “I’ll pick you up at the station.”
- (기술·언어 등을) 익히다: “She picked up French just by watching movies.”
이 밖에도 정말 많은 구동사가 존재하지만, 우선은 자주 쓰이는 것부터 익숙해지면 좋습니다.
구동사의 미묘한 의미 차이
구동사는 한 가지 형태라도 맥락에 따라 뉘앙스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urn down”은 “볼륨을 낮추다”와 “제안을 거절하다” 두 가지 구동사 뜻이 있습니다. 문맥상 “볼륨을 낮추다”라면 뒤에 목적어가 “the volume”이나 “the TV”처럼 전자기기 등이 올 것이고, “제안을 거절하다”라면 “an offer”, “an invitation” 같은 것이 목적어가 되겠죠.
유사하게 “run into”는 “우연히 마주치다”와 “~에 부딪치다”라는 의미가 공존합니다. 마찬가지로 문맥에 따라 목적어가 사람인지 물리적 장애물인지를 살피면 구동사 뜻을 구분하기가 수월해집니다. 이처럼 구동사의 다의성은 문맥 파악 능력을 요구하지만, 익숙해지면 자연스럽게 구분하게 됩니다.
고급 구동사 활용법
- 공식 문서나 격식체에서의 구동사 사용 격식체 문장에서는 구동사 대신 좀 더 정중하거나 학문적인 동사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컨대 “look into” 대신 “investigate”나 “examine”을 쓰는 식입니다. 그러나 현대 영어에서는 신문 기사나 공식 문서에서도 일정 부분 구동사가 사용됩니다. 지나치게 구동사를 배제하기보다는, 적절한 문맥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구동사에 대한 능동태·수동태 활용 예: “set up”을 살펴봅시다. “They set up the conference room.”은 능동형 문장입니다. 이를 수동형으로 바꿀 경우, “The conference room was set up by them.”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구동사도 수동태가 가능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작문에서 응용 범위가 넓어집니다.
- 세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구동사 고급 수준으로 가면 동사+부사+전치사 형태의 구동사도 종종 등장합니다. 예: “put up with”는 “~을 참다, 견디다”라는 의미입니다. “get away with”는 “(잘못을) 벌 받지 않고 넘기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이런 다단어 구동사(mult-word phrasal verb)까지 익히면 한층 높은 수준의 영어 표현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구동사를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방법
주제별 묶음 학습
구동사 뜻을 기반으로 주제별로 묶어서 학습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up”이 들어가는 구동사들(look up, pick up, stand up, grow up 등)을 한 번에 정리해두고, “off”가 들어가는 구동사들(take off, turn off, cut off, kick off 등)을 묶어서 살펴보는 식입니다.
문맥과 함께 암기
단순히 “take off = 이륙하다, 벗다” 식으로 외우기보다는, 스스로 문장을 만들어 보거나 예문을 찾아 읽으면서 구동사가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 익히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영영사전을 활용하면 미묘한 뉘앙스까지 익힐 수 있으니 적극 추천합니다.
듣기 자료 활용
영어 구사자들이 일상에서 어떻게 구동사를 사용하는지 파악하려면, 미드나 영화, 유튜브 영상 등을 활용해 보세요. 원어민이 구동사를 구사하는 장면을 자주 접하면, 어떤 상황에서 어떤 구동사가 자연스럽게 쓰이는지 체감할 수 있습니다.
교재와 단어장 활용
시중에 구동사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교재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특히 고등학생 수준에서부터 성인 학습자용까지 다양하므로, 자신의 수준에 맞춰 구동사만 따로 정리된 자료나 단어장을 활용해 보세요.
실제로 문장에 써보기
구동사는 익히고도 막상 작문할 때 떠오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매일 일기를 쓰거나 SNS에 간단한 문장을 올릴 때, 새로 배운 구동사를 의식적으로 사용해 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언어는 사용하면서 체득하는 것이라,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가져옵니다.
마무리하며
구동사는 영어 학습자라면 결코 피할 수 없는 문법 요소입니다. 동사와 전치사(혹은 부사)가 결합되어 다양한 구동사 뜻을 만들어내기에, 그 범위가 매우 넓고 의미 파악이 까다롭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단 큰 틀을 잡고 반복적으로 접하다 보면,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는 순간이 오기도 합니다.
고등학생 수준에서는 자주 쓰이는 구동사와 그 대표적 구동사 뜻 및 간단한 분리 가능/불가능 구동사 구분 정도에 집중하면 좋습니다. 이후 더 심화된 학습을 거치면서 수동태 적용, 세 단어 이상으로 이뤄진 복합 구동사, 다양한 문맥에서의 뉘앙스 차이 등을 익혀나가면 됩니다. 한꺼번에 많은 구동사를 외우기보다, 조금씩 꾸준히 다양한 예문을 통해 익히면서 장기 기억으로 가져가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무엇보다 구동사는 실제 영어 커뮤니케이션에서 그 활용 빈도가 매우 높습니다. 짧은 표현 안에 생생한 의미가 담기고, 격식체나 글쓰기에서도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입니다. 완전히 이해되지 않아도, 우선은 친숙해지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그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구동사를 “단어가 아니라 하나의 어휘 덩어리”로 받아들이게 되고, 그 결과로 독해와 작문, 회화 모두에서 한 단계 올라선 실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결국 구동사는 수준 높은 영어 실력을 완성하는 열쇠이기도 합니다. 탄탄한 기본기 위에 꾸준한 반복 학습과 실제 사용 경험을 더한다면, 구동사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말에도 비슷한 표현이 있긴 하지만 영어에서 구동사의 비중은 훨씬 큽니다. 그러니 이 글에서 소개한 개념과 전략들을 토대로, 익히고자 하는 구동사를 하나씩 정복해 나가길 바랍니다. 차근차근 꾸준히 연습한다면, 분명 풍부하고 자연스러운 영어 구사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