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의 종류 정리: 보통, 집합, 고유, 물질, 추상 명사 총정리
Contents Table
참조
명사의 종류(네이버 사전)
함께읽으면 좋은 글
영어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접하는 품사 중 하나가 바로 ‘명사’입니다. 명사는 단순히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을 넘어, 문장 속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모든 명사가 똑같이 쓰이지는 않습니다. 어떤 명사는 셀 수 있고, 어떤 명사는 셀 수 없습니다. 어떤 명사는 관사 ‘a’나 ‘an’을 붙일 수 있지만, 어떤 명사는 그렇지 않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로 명사의 종류입니다.
영어 문법에서 명사의 종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관사의 사용, 수의 일치(단수/복수) 등 문법의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규칙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명사의 종류를 모르면 왜 ‘water’는 ‘waters’가 안 되는지, 왜 ‘love’ 앞에 ‘a’를 붙이지 않는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영어 명사의 종류는 크게 5가지로 나뉩니다.
- 보통명사 (Common Nouns)
- 집합명사 (Collective Nouns)
- 고유명사 (Proper Nouns)
- 물질명사 (Material Nouns)
- 추상명사 (Abstract Nouns)
이 다섯 가지 명사의 종류는 다시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라는 두 개의 큰 그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구분이 문법 적용의 핵심입니다.
셀 수 있는 명사 (Countable Nouns)
셀 수 있는 명사는 말 그대로 하나, 둘, 셋 하고 그 수를 셀 수 있는 명사를 의미합니다.
- 특징:
- 단수형과 복수형을 모두 가집니다. (예: book → books)
- 단수형 앞에는 부정관사 ‘a’ 또는 ‘an’을 붙일 수 있습니다. (예: a desk)
이 그룹에는 보통명사와 집합명사가 속합니다. 이 명사의 종류들은 문장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보통명사 (Common Nouns)
보통명사는 같은 종류의 사람, 사물, 장소 등에 두루 쓰이는 일반적인 이름을 말합니다.
- 예: book (책), student (학생), city (도시), dog (개), computer (컴퓨터)
보통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입니다. 따라서 단수형과 복수형이 명확히 구분되며, 단수일 때는 상황에 따라 ‘a/an’ 또는 ‘the’와 같은 관사가 필요합니다.
- I bought a book yesterday. (나는 어제 책 한 권을 샀다.) – 불특정한 단수
- The book I bought is interesting. (내가 산 그 책은 흥미롭다.) – 특정한 단수
- I like books. (나는 책들을 좋아한다.) – 일반적인 복수
집합명사 (Collective Nouns)
집합명사는 여러 사람이나 사물이 모여 이룬 ‘집합체’를 하나의 단위로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 예: family (가족), team (팀), audience (청중), committee (위원회), class (학급)
집합명사는 명사의 종류 중 가장 까다로운 부분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 명사들이 ‘집합체(단일 단위)’로 쓰일 수도 있고, ‘집합체를 이루는 구성원들’로 쓰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하나의 단위로 취급 (단수 취급):
- 집합체 전체를 하나의 덩어리로 볼 때입니다.
- My family is large. (우리 가족은 대가족이다.) – ‘가족’이라는 집합체 하나
- The team plays well. (그 팀은 경기를 잘한다.) – ‘팀’이라는 단위 하나
- 구성원 개개인으로 취급 (복수 취급):
- 집합체를 이루는 구성원 개개인에 초점을 맞출 때입니다. (주로 영국식 영어)
- My family are all healthy. (우리 가족 구성원들은 모두 건강하다.) – 가족 구성원 여러 명
- The committee are discussing the issue. (위원회 구성원들이 그 문제를 토의 중이다.)
이러한 집합명사 자체도 ‘a family’, ‘two teams’처럼 여러 개의 집합으로 셀 수 있습니다.
셀 수 있는 명사의 종류 및 특징
| 명사의 종류 | 정의 | 셀 수 있음 (Countable) | 단수/복수 | 관사 (a/an) | 예시 |
| 보통명사 | 일반적인 사물/사람 | 예 | 둘 다 가능 | 단수일 때 사용 | book, chair, student |
| 집합명사 | 집합체 단위 | 예 (집합 자체) | 단위(단수), 구성원(복수) | 단수 단위일 때 사용 | family, team, audience |
셀 수 없는 명사 (Uncountable Nouns)
셀 수 없는 명사는 일정한 형태가 없거나, 너무 작거나, 추상적이어서 그 수를 하나하나 헤아릴 수 없는 명사를 말합니다. ‘물질’이나 ‘개념’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 특징:
- 복수형을 만들지 않습니다. (즉, ‘-s’를 붙이지 않습니다.)
- 부정관사 ‘a’ 또는 ‘an’을 붙일 수 없습니다.
- 양을 나타낼 때는 some, any, much, little 등과 함께 씁니다.
- 수를 세려면 a cup of, a piece of 등 단위를 나타내는 말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그룹에는 고유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가 속합니다.
고유명사 (Proper Nouns)
고유명사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특정한 사람, 장소, 사물 등의 고유한 이름을 나타냅니다.
- 특징: 항상 문장의 첫 글자가 아니더라도 대문자로 시작합니다.
- 예: John (사람 이름), Seoul (도시 이름), Korea (국가 이름), Samsung (회사 이름), Monday (요일)
고유명사는 기본적으로 유일한 존재이므로 셀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복수형이나 부정관사 ‘a/an’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강이나 바다, 산맥, 국가의 복수형 이름 등에는 정관사 ‘the’를 붙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 the Han River, the United States)
물질명사 (Material Nouns)
물질명사는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물질, 재료, 음식 등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 예: water (물), air (공기), gold (금), bread (빵), money (돈), furniture (가구)
이 명사의 종류는 형태가 정해져 있지 않아 ‘하나’, ‘둘’ 셀 수 없습니다. ‘water’ 한 개라는 말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물질명사의 수량을 나타내려면 단위를 사용해야 합니다.
- a glass of water (물 한 잔)
- two slices of bread (빵 두 조각)
- a piece of furniture (가구 한 점)
Furniture (가구)나 money (돈)가 셀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chair나 desk는 셀 수 있지만, 이들을 총칭하는 furniture는 물질명사로 취급합니다.
추상명사 (Abstract Nouns)
추상명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성질, 상태, 감정, 생각, 개념 등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 예: love (사랑), hope (희망), peace (평화), beauty (아름다움), information (정보), advice (조언)
이러한 개념들은 물리적인 실체가 없으므로 셀 수 없습니다.
- Information (정보)이나 advice (조언)는 한국어로는 ‘정보들’, ‘조언들’이 가능할 것 같지만, 영어에서는 셀 수 없는 명사입니다.
- ‘조언 한 마디’는 a piece of advice라고 표현합니다.
셀 수 없는 명사의 종류 및 특징
| 명사의 종류 | 정의 | 셀 수 있음 (Countable) | 단수/복수 | 관사 (a/an) | 예시 |
| 고유명사 | 특정한 고유 이름 | 아니요 (원칙) | 단수 (원칙) | 사용 안 함 (원칙) | Seoul, John, Samsung |
| 물질명사 | 형태가 없는 물질/재료 | 아니요 | 항상 단수 | 사용 안 함 | water, bread, money |
| 추상명사 | 보이지 않는 개념/성질 | 아니요 | 항상 단수 | 사용 안 함 | love, peace, information |
명사의 보통명사화: 예외적인 쓰임
문법이 복잡해지는 지점은 바로 ‘예외’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셀 수 없는 명사의 종류(고유, 물질, 추상)들도 특정한 의미가 더해지면 ‘셀 수 있는’ 보통명사처럼 쓰일 수 있습니다. 이를 ‘명사의 보통명사화’라고 부릅니다.
이 경우, 해당 명사들은 부정관사 ‘a/an’을 붙이거나 복수형 ‘-s’를 붙일 수 있게 됩니다.
1.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고유명사가 보통명사처럼 쓰일 때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와 같은 사람/특징을 가진 사람’: He is a Newton of his time. (그는 그 시대의 뉴턴 같은 사람이다. = 위대한 과학자이다.)
- ‘~의 작품, 제품’: I saw a Picasso at the museum. (나는 박물관에서 피카소의 작품 한 점을 봤다.)
- ‘~ 가문의 사람’: He is a Kennedy. (그는 케네디 가문의 사람이다.)
2. 물질명사의 보통명사화
물질명사가 보통명사화되면 ‘제품’, ‘종류’ 또는 ‘구체적인 한 단위(a serving of)’를 의미합니다.
- ‘제품’ 또는 ‘종류’:
- This store sells various wines. (이 가게는 다양한 (종류의) 와인들을 판다.)
- This is a very good cheese. (이것은 매우 훌륭한 (종류의) 치즈이다.)
- ‘구체적인 한 단위’ (주문 시):
- Can I get two coffees? (커피 두 잔 주시겠어요?) – two cups of coffee와 같은 의미
3.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
추상명사가 보통명사화되면 ‘그러한 성질을 가진 구체적인 사람/사물’ 또는 ‘그러한 행위/사건’을 의미합니다.
- ‘~한 사람/사물’:
- She is a beauty. (그녀는 미인이다.) – a beautiful person
- The new building is a success. (그 새 건물은 성공작이다.) – a successful thing
- ‘구체적인 행위/사건’:
- He did me a kindness. (그는 나에게 친절한 행동을 하나 베풀었다.) – a kind act
- We had a good time. (우리는 좋은 시간을 보냈다.) – 구체적인 한 때
명사의 보통명사화 예시
| 원래 명사 종류 | 원래 명사 | 보통명사화된 의미 | 예시 문장 |
| 고유명사 | Newton | ~같은 위인 | He is a Newton. |
| 물질명사 | wine | 특정 종류, 제품 | This is a good wine. |
| 물질명사 | coffee | 한 잔 (주문) | Two coffees, please. |
| 추상명사 | beauty | 미인 | She is a beauty. |
| 추상명사 | kindness | 친절한 행동 | He did me a kindness. |
명사 종류 구분의 중요성
지금까지 영어 명사의 종류 5가지와 그 특징, 그리고 예외적인 용법까지 살펴보았습니다.
명사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이 단순히 문법 지식을 쌓기 위한 것은 아닙니다. 어떤 명사의 종류에 속하는지 알아야만 문장을 만들 때 ‘a’를 붙일지, ‘the’를 붙일지, 아니면 아무것도 붙이지 않을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수를 단수로 맞춰야 할지, 복수로 맞춰야 할지(수일치) 판단하는 근거가 됩니다.
예를 들어, advice와 information이 셀 수 없는 추상명사라는 것을 모른다면 advices나 an information과 같은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기 쉽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