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발음 총정리 (한국어로 발음하는 방법)
Contents Table
영어 발음기호(IPA)를 처음 접하면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은 영어의 소리를 체계적으로 표기한 ‘지도’라고 볼 수 있어요. 한국어 발음과 직접 1:1로 완벽히 대응되지 않는 부분이 많지만, 대략적인 유사점을 통해 쉽게 이해해보겠습니다. 아래에서는 영어에서 흔히 쓰이는 IPA 기호 전부를 다룹니다. (영국식/미국식에 따라 차이가 조금 있을 수 있으나, 여기서는 큰 틀로 묶어서 설명합니다.)
1. IPA란 무엇인가?
- IPA(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전 세계 언어의 소리를 기호로 표기하는 체계.
 - 영어는 표기가 불규칙적이라, 표기 그대로 읽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그래서 사전이나 교재에서 이 IPA 영어 발음기호를 사용해 ‘정확한 소리’를 표시함.
 
2. 영어의 자음 음성 기호
자음(Consonants)은 소리가 날 때 공기가 혀나 입술 등에 의해 어느 정도 막힘이 생깁니다. 한국어와 유사한 자음도 있고, 없는 자음도 있으니, 하나씩 영어 발음을 살펴볼게요.
2.1 파열음 (Plosive 또는 Stop)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며 내는 소리입니다.
- /p/
- 예: pin /pɪn/, spill /spɪl/ (단어 첫 위치: 핀핀핀, 단어 중간: 스필스필스필 정도)
 - 한국어 
ㅂ(평음)와 비슷하지만, 영어의 /p/는 단어 처음에 올 때 좀 더 강하게(파열감 있게) 들릴 수 있어요. 한국어ㅍ와ㅂ의 중간 정도 느낌. 
 - /b/
- 예: big /bɪg/, about /əˈbaʊt/
 - 한국어 
ㅂ(된소리 아님)과 비슷하다고 느낄 수 있으나, 영어에서는바하는 느낌으로 좀 더 확실히 울림(성대 진동)이 있음. 
 - /t/
- 예: top /tɒp/, setting /ˈsetɪŋ/
 - 한국어 
ㄷ과 흡사하나, 영어 /t/는 단어 첫머리에 오면 약간 더 기식(숨)이나 터짐이 강할 수 있어요. 미국식 영어에서는 r화 등의 변화도 있으므로 실제 발음은 지역마다 조금 다를 수 있음. 
 - /d/
- 예: dog /dɒg/, redo /ˌriːˈduː/
 - 한국어 
ㄷ과 비슷하지만, 성대가 울려서 좀 더 부드럽게 들림. 
 - /k/
- 예: kind /kaɪnd/, speak /spiːk/
 - 한국어 
ㄱ(초성)과 유사하나, 역시 영어에서는 단어 처음에 오면 기식이 강해질 수 있음. 
 - /g/
- 예: go /ɡəʊ/ (영국식) /ɡoʊ/ (미국식)
 - 한국어 
ㄱ(된소리 아님)과 유사. 성대 진동이 있으니그소리로 울림이 조금 더 있음. 
 
2.2 마찰음 (Fricative)
공기가 좁은 통로를 빠져나가며 마찰을 일으키는 영어 발음 소리입니다.
- /f/
- 예: fun /fʌn/
 - 한국어에는 없는 소리. 
프와 비슷하긴 한데, 윗이빨과 아랫입술이 닿아서 마찰이 남. 한국어ㅍ와 달리 입술 두 개를 붙이지 않아요. 
 - /v/
- 예: voice /vɔɪs/, over /ˈəʊ.vər/ (영국) /ˈoʊ.vɚ/ (미국)
 - 한국어에는 없는 소리. /f/랑 같지만 ‘성대가 울리는’ 버전. 윗니와 아랫입술이 닿아서 /f/처럼 마찰을 만드는데, 소리가 “브”처럼 울립니다.
 
 - /θ/ (theta)
- 예: think /θɪŋk/, both /bəʊθ/
 - 한국어에 전혀 없는 소리. 혀끝을 윗니 사이에 살짝 내민 상태에서 공기를 뺌. 대체로 “뜨”와 “쓰” 사이 느낌.
 - 발음이 어려워서 한국인 학습자들은 /s/나 /t/로 대체하기도 함. (예: think → “씽크/띵크”)
 
 - /ð/ (eth)
- 예: this /ðɪs/, brother /ˈbrʌð.ər/
 - /θ/와 발음 위치(혀 위치)는 같지만, 성대가 울립니다(마치 “드”와 “즈” 사이).
 - 한국어에는 없는 소리. 혀를 윗니 사이에 두고 “드/즈” 울리는 느낌.
 
 - /s/
- 예: see /siː/, pass /pɑːs/ (영국) /pæs/ (미국)
 - 한국어 
ㅆ와 비슷. 다만 영어의 /s/는 한국어의 평음ㅅ과 된소리ㅆ중간 정도로 느껴질 수 있음. 
 - /z/
- 예: zoo /zuː/, lazy /ˈleɪ.zi/
 - /s/의 유성음(성대 울림). 한국어에는 
ㅈ발음과 조금 다르며, “즈” 소리로 약간 진동이 느껴짐. 
 - /ʃ/
- 예: she /ʃiː/, wish /wɪʃ/
 - 한국어 
쉬,시비슷. 입술을 둥글게 약간 오므리고, “슈/쉬” 느낌을 냄. - 자음 앞에서는 좀 더 강하게 “슈”가 들릴 때도 있음.
 
 - /ʒ/
- 예: vision /ˈvɪʒ.ən/, measure /ˈmeʒ.ər/
 - /ʃ/의 유성음. 한국어에 없는 소리지만, “즈”에 가깝되 입술이 좀 둥글어짐. 한글로는 “저”와 “져”의 중간 느낌으로 울림이 남.
 
 - /h/
- 예: hello /həˈləʊ/ (영국) /həˈloʊ/ (미국)
 - 한국어의 
ㅎ과 상당히 비슷. 시작할 때 숨을 좀 더 내뱉으면 영어스러운 /h/ 소리가 남. 
 
2.3 파찰음 (Affricate)
파열음 + 마찰음이 이어지는 영어 발음 소리.
- /tʃ/
- 예: chair /tʃeər/ (영국) /tʃer/ (미국)
 - 한국어의 
ㅊ(초성)와 비슷한 느낌. 혀 끝을 윗잇몸 쪽에 대었다가 터뜨리면서 마찰을 내 “춉” 소리를 냄. 
 - /dʒ/
- 예: just /dʒʌst/, judge /dʒʌdʒ/
 - /tʃ/의 유성음 버전. 한국어의 
ㅈ초성과 비슷. “쥐/지” 발음에 가까움. 
 
2.4 비음 (Nasal)
코로 공기가 통과하는 영어 발음 소리.
- /m/
- 예: man /mæn/
 - 한국어 
ㅁ과 거의 흡사. 
 - /n/
- 예: nose /nəʊz/ (영국) /noʊz/ (미국)
 - 한국어 
ㄴ과 흡사. 
 - /ŋ/
- 예: sing /sɪŋ/, ring /rɪŋ/
 - 한국어 
ㅇ받침과 동일. 단어 끝 /ŋ/은 한국인에게 익숙하지만, 단어 처음에 오는 /ŋ/은 한국어에는 없음(영어로도 단어 처음에 오는 경우가 드뭅니다: ‘ng…’ 같은 형태). 
 
2.5 유음·반모음 (Liquids & Approximants)
공기의 흐름을 많이 막지 않고 내는 영어 발음 소리.
- /l/
- 예: light /laɪt/, fill /fɪl/
 - 한국어 
ㄹ과 대체로 비슷하나, 위치에 따라 (어두/어말) 영어의 /l/은 혀끝 위치나 입모양이 달라 살짝 다른 음색이 남. - Light L /l/: 단어 앞(예: light)
 - Dark L [ɫ]: 단어 끝(예: fill) → 혀의 뒤가 약간 올라가서 좀 더 굵은 느낌이 날 수 있음.
 
 - /r/
- 예: red /red/, far /fɑːr/ (미국식)
 - 한국어 
ㄹ과 달리 혀가 둥글려져서 공기가 옆으로 빠지는 것이 아니라, 혀가 말려서 살짝 입 안쪽으로 들어갑니다(특히 미국 영어). - 한국어에서는 거의 “ㄹ”/“ㄷ”/“어” 등의 혼합 느낌으로 들릴 수 있음.
 
 - /j/
- 예: yes /jes/, yellow /ˈjel.əʊ/
 - 한국어로 치면 
ㅣ반모음 느낌이라ㅑ/ㅕ소리와 비슷합니다. “이~” 소리를 약간 굴려서 낸다고 생각하면 쉬움. 
 - /w/
- 예: we /wiː/, window /ˈwɪn.dəʊ/
 - 혀 뒤가 올라가고 입술을 동그랗게 오므려서 “우” + “ㅟ” 같은 느낌. 한국어 
ㅇ(초성) +ㅜ/ㅟ와 약간 비슷하나, 영어는 입술을 더 동그랗게 모음. 
 
3. 영어의 모음 음성 기호
영어 모음은 길이, 이중모음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합니다. 한국어 모음 체계와 달라서 헷갈리기 쉬워요.
3.1 단모음 (Pure Vowels)
(여기서 /ː/ 기호는 길게 발음한다는 의미예요. 영국식 IPA에서 장모음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음.)
- /iː/
- 예: see /siː/, beat /biːt/
 - 긴 이소리. 한국어 
이보다 좀 더 입술 양옆을 당겨서 길게 소리 냄. 
 - /ɪ/
- 예: sit /sɪt/, bit /bɪt/
 - 짧은 이소리. 한국어 
이보다 짧고 입이 조금 덜 벌어지는 느낌. 
 - /e/
- 예: bed /bed/
 - 한국어 
에와 비슷하나, 영어 /e/는 입을 더 벌려서 발음할 때가 많음. 
 - /æ/
- 예: cat /kæt/
 - 한국어에는 없는 소리. 
애보다 입을 더 크게 벌려 “캣” 느낌. 입이 옆으로도 벌어지지만 아래로도 내려감. 
 - /ʌ/
- 예: cut /kʌt/, but /bʌt/
 - 한국어 
어와 비슷하나, 발음 위치가 조금 더 위쪽(입 안쪽)에서 남. “컷”할 때의 ‘어’ 발음이 꽤 짧고 약간 올라간 느낌. 
 - /ɑː/ (영국), /ɑ/ (미국)
- 예: father /ˈfɑːð.ər/ (영국), /ˈfɑð.ɚ/ (미국)
 - 한국어 
아보다 입을 훨씬 크게 벌림. 영국식은 길게 /ɑː/, 미국식은 짧게 /ɑ/로도 표기. 
 - /ɒ/ (영국식), (미국에선 주로 /ɑ/ 또는 /ɔ/로 실현)
- 예: lot /lɒt/ (영국), /lɑt/ (미국)
 - 영국식에서는 “라앜~”처럼 약간 입을 둥글게 벌림. 미국식에서는 /lɑt/ 비슷하게 발음되어 /ɑ/에 가깝게 들림.
 
 - /ɔː/ (영국), (미국에서는 /ɔ/ 또는 /ɑ/로 변화)
- 예: thought /θɔːt/ (영국), (미국: /θɔt/ 또는 /θɑt/)
 - 한국어로는 
어~오사이 소리. 영국식은 길고 둥글게 “th-aw-t”. 미국식은 지역마다 달라 /ɔ/가 /ɑ/에 흡수되기도 함. 
 - /ʊ/
- 예: foot /fʊt/, could /kʊd/
 - 짧은 
우소리. 한국어우보다 입술을 덜 내밀고, 소리가 짧고 움츠러듬. 
 - /uː/
- 예: food /fuːd/, blue /bluː/
 - 긴 
우. 한국어우에 가깝지만 더 입술을 둥글게 모으며 길게 발음. 
 - /ɜː/ (미국식 표기에선 /ɝ/ 또는 /ɚ/)
- 예: bird /bɜːd/ (영국), /bɝd/ (미국)
 - 한국어에는 없는 r음이 섞인 모음. 영국식은 “버~드”처럼 길게, 미국식은 “버(r)드” 처럼 r이 살아 있음.
 - 표기에 따라 /ɝ/ (강세 있을 때), /ɚ/ (약세일 때)로 구분.
 
 - /ə/ (슈와, Schwa)
- 예: about /əˈbaʊt/
 - 매우 약한 ‘어’ 소리. 한국어에서는 무강세 모음이 거의 없으므로, 영어에서 가장 헷갈리는 소리 중 하나. 힘 빼고 살짝 ‘어’라고 흘리는 느낌.
 
 
3.2 이중모음 (Diphthongs)
한 모음 안에 두 가지 모음 소리가 이어지는 것. 시작 모음에서 끝 모음으로 영어 발음이 부드럽게 이동합니다.
- /eɪ/
- 예: face /feɪs/, day /deɪ/
 - 한국어로 치면 “에이” 느낌. 시작은 /e/ (에) 쪽, 끝은 /ɪ/ (이) 쪽.
 
 - /aɪ/
- 예: time /taɪm/, I /aɪ/
 - “아이”로 들림. 시작은 /a/ (아), 끝은 /ɪ/ (이).
 
 - /ɔɪ/
- 예: boy /bɔɪ/, choice /tʃɔɪs/
 - “오이”처럼 들림. 시작은 /ɔ/ (오/어), 끝은 /ɪ/ (이).
 
 - /aʊ/
- 예: now /naʊ/, out /aʊt/
 - “아우” 소리. 한국어 “아우”와 유사하나, 소리의 궤적이 좀 더 부드럽게 이어짐.
 
 - /əʊ/ (영국), /oʊ/ (미국)
- 예: go /ɡəʊ/ (영국), /ɡoʊ/ (미국)
 - 시작은 /ə/ 또는 /o/ 비슷, 끝은 /ʊ/ 쪽으로 살짝 올라가 “오우”처럼 들림.
 
 - /eə/ (영국), 미국에선 /er/ 비슷
- 예: there /ðeə/ (영국), /ðer/ (미국)
 - “에어” 소리. 영국식은 약간 늘여서 “데어”, 미국식은 /er/ 처럼 “데(어)ㄹ~”.
 
 - /ɪə/ (영국), 미국에선 /ɪr/ 비슷
- 예: near /nɪə/ (영국), /nɪr/ (미국)
 - “니어” 소리. 영국식에서 모음이 두 개 이어짐.
 
 - /ʊə/ (영국), 미국에선 /ʊr/ 또는 다른 음으로 흡수
- 예: pure /pjʊə/ (영국), /pjʊr/ (미국)
 - “퓨어” 소리. 미국에서는 /pjʊr/로 좀 더 간단히 발음.
 
 
4. 요약 및 주의점
- 한국어와 완전히 일치하는 영어 발음 소리는 거의 없다
- 비슷한 소리는 많지만, 미세하게 다른 지점이 있어요. 혀 위치, 입술 모양, 성대 울림 등.
 
 - 자음의 기식, 유성음 차이
- 영어의 /p, t, k/는 한국어 평음과 격음 사이쯤. /b, d, g/는 울림이 확실함.
 - /f, v/처럼 치음(이빨/입술) 소리는 한국어에는 없으므로 주의.
 
 - 모음이 한국어보다 다양
- /æ/, /ʌ/, /ɜː/, /ə/ 같은 모음은 한국어에 없거나, 비슷해도 길이·입 모양·혀 위치가 다름.
 
 - 이중모음(Diphthong)은 하나의 음절 안에서 두 모음이 이어짐
- 예: /aɪ/ (아이), /aʊ/ (아우) 등.
 
 - 강세, 리듬, 장단도 중요
- 영어 발음은 단순히 음가(소리)만 맞춰도 충분하지 않을 때가 많고, 어느 음절에 강세가 있는지도 중요.
 
 
5. 마무리
위에 나온 기호들이 영어 발음기호의 핵심입니다. 실제로 영어 발음을 제대로 익히려면, 이 기호들을 보고 혀 위치, 입술 모양, 성대 울림을 주의 깊게 연습해야 합니다.
- 초보 단계에서는 한국어에 가장 가까운 느낌으로 먼저 이해하고,
 - 그 후에 원어민 발음을 들어보고 모사하며 미세한 차이를 교정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보면 IPA는 영어의 소리 지도를 단순화해놓은 약속일 뿐, 실제 영어 발음은 사람마다(또는 영국/미국/호주 등 지역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어요. 하지만 IPA 기호를 기준으로 알아두면, 사전이나 학습 자료를 볼 때 영어 발음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정리하자면, 한국어로는 정확히 대응되지 않는 영어 소리도 많기 때문에, 먼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고, 실제 소리를 여러 번 들어보며 입과 혀의 위치를 스스로 점검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위의 표를 참고해 영어 발음을 연습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