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사와 타동사: 문장의 핵심, 제대로 이해하기
영어 문법의 세계에 첫발을 내디딜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자동사와 타동사입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막상 문장에서 마주하면 어떤 동사가 자동사인지, 타동사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둘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면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고, 결국 해석과 영작 모두에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자동사와 타동사의 근본적인 차이점부터 시작해, 각각의 세부 종류와 헷갈리기 쉬운 동사들까지 명확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의 가장 큰 차이점: ‘목적어’
자동사와 타동사를 구분하는 가장 핵심적인 기준은 바로 ‘목적어(Object)’의 유무입니다. 목적어란 동사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을 말하며, 우리말의 ‘~을/를’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 자동사 (Intransitive Verb): 스스로 ‘자(自)’자를 쓰는 이름처럼, 다른 대상(목적어) 없이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하는 동사입니다. 즉, ‘주어 + 동사’만으로도 문장이 완전하게 성립될 수 있습니다.
- 타동사 (Transitive Verb): 타인 ‘타(他)’자를 쓰는 이름처럼, 동사의 행위가 다른 대상, 즉 목적어에게 영향을 미치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주어 + 동사’만으로는 문장이 불완전하며, 반드시 뒤에 목적어가 와야 합니다.
가장 간단한 구분 방법은 동사 뒤에 ‘무엇을?’ 또는 ‘누구를?’이라는 질문을 던져보는 것입니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목적어)이 필요하면 타동사, 필요 없으면 자동사입니다.
구분 | 특징 | 예시 문장 | 질문 던져보기 |
자동사 | 목적어가 필요 없음 | The sun rises. (태양이 뜬다.) | 무엇을/누구를 뜬다? (어색함) |
타동사 | 목적어가 반드시 필요함 | I love you. (나는 너를 사랑한다.) | 무엇을/누구를 사랑하니? (너를) |
2. 더 깊이 알아보기: 자동사의 종류
자동사는 다시 ‘완전자동사’와 ‘불완전자동사’로 나뉩니다. 이는 문장을 완전하게 만드는 데 ‘보어(Complement)’가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완전자동사 (Complete Intransitive Verb)
완전자동사는 주어와 동사만으로 문장의 의미가 완벽하게 전달되는 동사를 말합니다. 1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구조: 주어 + 완전자동사
- 예시:
- Birds sing. (새들이 노래한다.)
- He arrived. (그가 도착했다.)
- The accident happened yesterday. (그 사고는 어제 일어났다.)
물론, 문장을 더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 부사(구)가 뒤에 붙을 수 있지만, 이는 문장의 필수 성분은 아닙니다.
예시 동사 | 의미 |
go, come | 가다, 오다 |
live, die | 살다, 죽다 |
work | 일하다 |
rise, fall | 오르다, 내리다 |
exist | 존재하다 |
불완전자동사 (Incomplete Intransitive Verb)
불완전자동사는 주어와 동사만으로는 의미가 불완전하여, 주어의 상태나 정체를 보충 설명해 주는 **주격 보어(Subjective Complement)**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2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주격 보어 자리에는 주로 명사나 형용사가 옵니다.
- 구조: 주어 + 불완전자동사 + 주격 보어
- 예시:
- She is a doctor. (그녀는 의사이다.) – ‘a doctor’가 주어 ‘She’를 보충 설명
- He became famous. (그는 유명해졌다.) – ‘famous’가 주어 ‘He’의 상태를 보충 설명
- This soup tastes good. (이 수프는 좋은 맛이 난다.) – ‘good’이 주어 ‘This soup’의 상태를 설명
종류 | 대표 동사 | 예시 |
상태 유지 | be, keep, remain, stay | He remained silent. (그는 침묵을 유지했다.) |
상태 변화 | become, get, grow, turn | The leaves turned red. (나뭇잎들이 빨갛게 변했다.) |
감각 (지각) | look, sound, feel, taste, smell | You look tired. (너는 피곤해 보인다.) |
자동사와 타동사의 개념을 이해했다면, 이제는 동사가 문장 내에서 보어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더 깊이 알아보기: 타동사의 종류
타동사 역시 목적어 외에 다른 성분이 필요한지에 따라 ‘완전타동사’, ‘수여동사’, ‘불완전타동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완전타동사 (Complete Transitive Verb)
완전타동사는 주어, 동사, 목적어만으로 문장의 의미가 완전하게 전달되는 동사입니다.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하는 3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 구조: 주어 + 완전타동사 + 목적어
- 예시:
- I made a chair. (나는 의자를 만들었다.)
- She reads a book. (그녀는 책을 읽는다.)
- We discussed the problem. (우리는 그 문제를 논의했다.)
수여동사 (Dative Verb)
수여동사는 ‘~에게 ~을 주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목적어를 두 개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간접목적어(Indirect Object, ~에게)와 직접목적어(Direct Object, ~을/를)가 순서대로 나옵니다. 4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 구조: 주어 + 수여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 예시:
- He gave me a present. (그는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 My mom bought me a new phone. (엄마는 나에게 새 휴대폰을 사주셨다.)
- Can you show me the way? (저에게 길을 알려주시겠어요?)
대표 동사 | 의미 |
give, offer, send | 주다, 제공하다, 보내다 |
buy, make, get | 사주다, 만들어주다, 가져다주다 |
tell, ask, teach | 말해주다, 물어보다, 가르쳐주다 |
불완전타동사 (Incomplete Transitive Verb)
불완전타동사는 목적어만으로는 문장의 의미가 불완전하여, 목적어의 상태나 행위를 보충 설명하는 **목적격 보어(Objective Complement)**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5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 구조: 주어 + 불완전타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 예시:
- They call him a hero. (그들은 그를 영웅이라고 부른다.) – ‘a hero’가 목적어 ‘him’을 보충 설명
- This music makes me happy. (이 음악은 나를 행복하게 만든다.) – ‘happy’가 목적어 ‘me’의 상태를 설명
- I want you to study hard. (나는 네가 열심히 공부하기를 원한다.) – ‘to study hard’가 목적어 ‘you’의 행위를 설명
대표 동사 | 목적격 보어 형태 | 예시 |
make, call, name | 명사 | We named our dog Coco. |
find, keep, leave | 형용사 | Please leave the door open. |
want, ask, allow | to부정사 | She allowed me to go. |
(사역동사) make, have, let | 동사원형 | He made me clean the room. |
(지각동사) see, hear, feel | 동사원형 / 현재분사 | I saw him cross the street. |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분에서 더 나아가, 각 동사가 어떤 문장 형식을 만드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영어 실력 향상의 지름길입니다.
4. 헷갈리기 쉬운 자동사와 타동사
한국어 해석 때문에 자동사와 타동사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한국어로는 목적어가 필요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자동사이거나, 그 반대인 경우를 주의해야 합니다.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전치사 X)
이 동사들은 ‘~에 대해’, ‘~와’ 등의 의미 때문에 뒤에 전치사(about, with, to 등)를 붙이고 싶지만, 바로 목적어가 와야 하는 타동사입니다.
동사 | 잘못된 표현 | 올바른 표현 | 의미 |
discuss | discuss about the issue | discuss the issue | ~에 대해 토론하다 |
marry | marry with him | marry him | ~와 결혼하다 |
enter | enter into the room | enter the room | ~에 들어가다 |
reach | reach to Seoul | reach Seoul | ~에 도착하다 |
answer | answer to the question | answer the question | ~에 답하다 |
resemble | resemble with her father | resemble her father | ~와 닮다 |
mention | mention about it | mention it | ~에 대해 언급하다 |
Sheets로 내보내기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 (전치사 O)
반대로, 이 동사들은 목적어를 가지려면 반드시 특정 전치사의 도움이 필요한 자동사들입니다.
동사 + 전치사 | 의미 | 예시 |
wait for | ~을 기다리다 | I am waiting for the bus. |
listen to | ~을 듣다 | She listens to music every day. |
object to | ~에 반대하다 | He objected to the new plan. |
apologize for | ~에 대해 사과하다 | You should apologize for your mistake. |
graduate from | ~을 졸업하다 | My sister graduated from college last year. |
reply to | ~에 답장하다 | Please reply to my email. |
자동사와 타동사, 문장 구조의 핵심
지금까지 자동사와 타동사의 기본 개념부터 심화 내용, 그리고 헷갈리기 쉬운 부분까지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처음에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목적어’라는 핵심 기준을 잡고 차근차근 문장을 분석하는 연습을 한다면 누구나 자동사와 타동사를 완벽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