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 총정리 (of, with, all, itself)
Contents Table
참조
명사의 종류
함께읽으면 좋은 글
추상명사는 ‘love’, ‘hope’, ‘importance’처럼 형태가 없는 개념이나 속성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대부분의 학습자는 이 단어들을 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에서 명사로만 활용합니다.
하지만 영어 문장에서 추상명사는 종종 명사의 자리를 벗어나 형용사나 부사처럼 쓰이곤 합니다. 이렇게 정해진 형태(주로 전치사와의 결합)로 본래의 품사와 다르게 활용되는 것을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면, ‘very important’ 대신 ‘of great importance’와 같이 더 세련되고 격식 있는 표현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을 살펴보고, 특히 ‘왜’ 그렇게 쓰이는지 그 원리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합니다.
of + 추상명사: 형용사로 변신
가장 대표적인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은 of + 추상명사가 형용사구(adjective phrase) 역할을 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주로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거나, be동사 뒤에서 보어 역할을 합니다.
- a man of ability = an able man (능력 있는 사람)
- This book is of use = This book is useful (이 책은 유용하다)
이 형태는 ‘…을 가진’ 또는 ‘…의 속성을 지닌’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음 표는 자주 사용되는 of + 추상명사의 예시입니다.
| of + 추상명사 | 형용사 의미 |
| of importance | important (중요한) |
| of use | useful (유용한) |
| of value | valuable (가치 있는) |
| of ability | able (능력 있는) |
| of wisdom | wise (지혜로운) |
| of courage | courageous (용감한) |
| of quality | high-quality (수준 높은) |
| of note | notable (주목할 만한) |
| of significance | significant (상당한, 중대한) |
이러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은 문장에서 형용사가 하는 역할을 그대로 수행합니다.
- 명사 수식: A woman of great beauty walked into the room. (매우 아름다운 여성이 방으로 걸어 들어왔다.)
- 보어 역할: The advice was of no value to me. (그 조언은 나에게 아무 가치가 없었다.)
전치사 + 추상명사: 부사로 변신
of를 제외한 다른 전치사들(with, in, on, by, at 등)이 추상명사와 결합하면, 대부분 부사구(adverbial phrase) 역할을 합니다. 이것 역시 매우 중요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입니다.
이 부사구는 주로 문장의 동사나 형용사를 수식하며 ‘어떻게’, ‘왜’, ‘어떤 상태로’ 등의 의미를 더해줍니다.
- He solved the problem with ease. = He solved the problem easily. (그는 그 문제를 쉽게 풀었다.)
- She did it on purpose. = She did it purposely. (그녀는 그것을 고의로 했다.)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에서 부사로 쓰이는 경우는 매우 다양합니다. 주요 전치사별 예시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 전치사 + 추상명사 | 부사 의미 | 전치사 |
| with ease | easily (쉽게) | With (방식) |
| with kindness | kindly (친절하게) | |
| with difficulty | difficultly (어렵게) | |
| with patience | patiently (참을성 있게) | |
| in haste | hastily (서둘러서) | In (상태) |
| in brief | briefly (간단히) | |
| in safety | safely (안전하게) | |
| in private | privately (개인적으로) | |
| on purpose | purposely (고의로) | On (의도) |
| on impulse | impulsively (충동적으로) | |
| by accident | accidentally (우연히) | By (원인) |
| by chance | luckily (운 좋게) | |
| at peace | peacefully (평화롭게) | At (상태) |
| at ease | comfortably (편안하게) | |
| for certainty | certainly (확실히) | For (확신) |
| for pleasure | for fun (재미로) |
이러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은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만들어주며, 특히 동사의 행위가 어떤 방식이나 상태로 이루어졌는지를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왜 of는 형용사, 다른 전치사는 부사가 될까?
많은 학습자가 ‘왜 of+추상명사는 형용사이고, with+추상명사는 부사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가집니다. 이는 각 전치사가 가진 핵심 의미와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1. of가 형용사 역할을 하는 이유
전치사 of는 ‘…의’라는 의미를 바탕으로 ‘소유’, ‘부분’, ‘속성’, ‘동격’ 등 다양한 관계를 나타냅니다.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에서 of는 ‘속성’ 또는 ‘특질’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즉, A of B는 ‘B라는 속성을 가진 A’로 해석됩니다.
- a man of wisdom
- 직역: ‘지혜(wisdom)라는 속성을 가진(of) 사람(a man)’
- 의미: ‘지혜로운 사람’ (a wise man)
‘지혜라는 속성을 가진’이라는 말 자체가 명사 ‘사람(a man)’을 꾸며주는 형용사의 역할입니다. of wisdom이 man의 정적인 속성이나 본질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of를 사용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이 형용사로 기능하는 핵심 원리입니다.
2. 다른 전치사가 부사 역할을 하는 이유
반면 with, in, on, by 등의 전치사는 ‘방식’, ‘상태’, ‘수단’, ‘원인’ 등을 나타냅니다.
- He spoke with wisdom.
- 직역: ‘그는 지혜(wisdom)를 가지고(with) 말했다.’
- 의미: ‘그는 지혜롭게 말했다.’ (He spoke wisely.)
이 문장에서 with wisdom은 명사 ‘그(He)’의 속성을 설명하는 것이 아닙니다. 대신 ‘말했다(spoke)’라는 동사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설명합니다.
of가 명사의 정적인 속성(형용사)을 설명하는 것과 달리, with는 동작의 동적인 방식(부사)을 설명합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 전치사가 바뀌면 문장의 의미와 품사적 기능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따라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을 학습할 때는 반드시 전치사와의 결합 관계에 주목해야 합니다.
All, itself: 강조를 위한 추상명사 용법
마지막으로 살펴볼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은 ‘매우 ~한’ 또는 ‘~ 그 자체’라는 강조의 의미를 더하는 형태입니다.
1. All + 추상명사
All + 추상명사는 ‘온통 ~인’, ‘매우 ~한 상태인’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주로 사람의 감정이나 태도를 묘사할 때 쓰이며, be동사의 보어 역할을 합니다.
- She was all smiles when she saw him. (그녀는 그를 보자 만면에 미소를 지었다. / 매우 기뻐했다.)
- He was all attention during the lecture. (그는 강의 내내 매우 집중했다.)
| All + 추상명사 | 강조 의미 |
| all smiles | 매우 기쁜, 만면에 미소 띤 |
| all attention | 매우 집중하는 |
| all ears | 매우 귀 기울여 듣는 |
| all eyes | 매우 주의 깊게 보는 |
| all business | 매우 사무적인, 진지한 |
2. 추상명사 + itself
추상명사 + itself는 ‘~ 그 자체’라는 의미로, ‘매우 ~한’의 최상급 강조를 나타냅니다.
- He is kindness itself. = He is very kind. (그는 친절함 그 자체이다. / 매우 친절하다.)
- The plan was simplicity itself. = The plan was very simple. (그 계획은 단순함 그 자체였다. / 매우 단순했다.)
이러한 강조 용법은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 중에서도 비교적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이 두 가지 강조 용법은 글이나 말에 생동감과 강렬함을 더해주는 유용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입니다.
추상명사의 활용법 되짚어보기
추상명사는 단순히 ‘사랑’, ‘중요성’ 같은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영어에서 추상명사는 문법적 유연성을 가지며, 특히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은 문장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오늘 살펴본 것처럼 of + 추상명사는 형용사로, with/in/on + 추상명사는 부사로 기능합니다. 그 이유는 전치사 of가 명사의 ‘정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반면, 다른 전치사들은 동작의 ‘동적인 방식이나 상태’를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all이나 itself와 결합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은 ‘매우’라는 강조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처음에는 이러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이 낯설고 암기할 것이 많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장에서 of importance나 with ease 같은 표현을 만났을 때, 당황하지 않고 각각 ‘important’와 ‘easily’로 치환하여 이해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추상명사의 관용적 용법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면, 더 풍부하고 세련된 영어 표현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