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시제” 생각의 전환 : 과거, 현재, 미래, 완료

영어 시제

영어에는 다양한 시제 가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초반에 배우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영어 시제” 라는 것인데요, 어린 아이들이 한국어를 배울때 딱히 시제에 대해 고민하며 언어를 배우지 않고, 자연스럽게 습득을 하기에, 나중에 영어를 ‘외국어’ 로써 배울 때, 영어 시제에 대해서 제대로 개념을 잡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제” 라고 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따로 이해하고 넘어가지 않으면, 이후에 영어를 배울때 모든게 뒤틀리게 됩니다.

영어 시제의 개념은 “과거 시제” 따로, “현재 시제” 따로, “완료 시제” 따로, “진행 시제” 따로, 이렇게 다 개별로 배우게 되면 절대 개념을 정확히 잡을 수 없습니다. 반드시 “모든 시제” 를 한번에 배워 선형적으로 연결을 해야만 정확한 영어 시제에 대한 이해가 가능합니다.

글이 다소 길지만, 다 읽고 이해하시면 필히 영어 시제에 대해 정수를 깨닫게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1. 영어 시제 개념

영어에 있는 그 개념!!! 한국어에도 반드시 있다. (다만, 인지할 뿐 표현하지 않는 것이다)

영어와 한국어

영어 시제에 대해서 뿐만이 아니라, 모든 영어 지식을 배울 때 반드시 마음에 새겨두어야 할 것이, “영어와 한국어는 다르지 않다” 입니다. 대부분 영어와 한국어는 많이 다르고, 그래서 한국인이 영어를 배우기 어렵다고 하는데, 생각을 좀 다르게 해보면 영어와 한국어는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개념”적인 관점에서 영어에 있는 어떠한 개념도 전혀 생소한 것이 없습니다. 다만 모국어가 한국의 우리 입장에서는 “그게 그거였다” 라고 하는 매치를 못시킬 뿐입니다. 이는 머리속에서 “인지”는 하지만, 표현상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인데요,우리가 주목할 것은 “개념”적인 인지부분에서는 영어와 한국어는 똑같은 “언어” 라는 것입니다.

영어 시제

2. 시제란 무엇인가

국어사전에 나와있는 “시제”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참조

시제란 어떤 사건이나 사실이 일어난 시간 선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문법 범주이다.

이 정의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시간 선상의 위치” 라는 부분 입니다. 시제는 결국 “시간”에 대한 개념이고, 사건이 일어난 ‘시간’을 표현하는 개념이 시제 입니다. 그리고 “선상의 위치” 라는 표현에서 캐치해야 할 것은, 시간을 2차원적 관점으로 “하나의 선” 으로 생각하고, “지금”을 기점으로 이전이면 과거, 이후이면 미래. 이렇게 “선”이라는 개념 상에서 시제를 이해해야만 각 시제의 차이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도식화 해보면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시간을 “선”으로 표현해 볼 수 있습니다.

영어 시제

3. 진행 시제 (과거진행, 현재진행, 미래진행) 의 의미

통상 학교에서든 학원에서든 우리가 “영어 시제”를 배울때, “현재, 과거, 미래” 와 같은 영어 시제를 먼저 배우고, 이후에 진행이나 완료와 같은 고급(?) 시제를 배웁니다. 그러나, 영어 시제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진행” 시제가 무엇인지부터 파악하고 들어가야 한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시간 선상의 위치” 라는 개념 때문인데요, 다음의 그림을 통해 이해해 보겠습니다.

점과 선

3.1 현재 / 진행 시제 관련한 착각 : Now 는 현재인가?

우리가 흔히 “현재” 라는 표현을 쓸 때 많이들 착각하고 있는게 있습니다. 통상 ‘현재’ 를 영어에 해당하는 느낌으로 “Now” 를 떠올리실텐데요, “너 지금 뭐해? (너 현재 뭐해?)” 라고 물어볼때 우리는 “현재”에 대해서 묻고 있다고 느낌니다. 그러나, 잘 생각해보면, Now 라는 것이 “현재” 를 의미하는게 맞을까요? 그럼 우리가 “현재 진행” 이라고 말하는 그 시제는 Now 가 아닌 걸까요? 여기서부터 “현재” 와 “현재 진행” 의 의미를 헷갈려 하기 시작합니다.
Now 는 정확히 말하면 “현재 진행” 입니다. “너 지금 뭐해?” 를 영어로 표현하면, “What are you doing?” 입니다. 명확히 현재 진행인게 보이실 겁니다. (Be + ~ing 진행형태)

3.2 현재 진행 시제 는 “점” 에 해당한다.

수학을 배울 때, 이런말은 한번 쯤 들어 보셨을 겁니다. “선은 무한히 많은 점의 집합이다.”

접을 무한하게 끝없이 찍고, 아주아주아주 촘촘하게 찍어간다면 결국 그 많은 점들이 모여 하나의 선이 될 것입니다. 즉, “선”이라고하는 것의 근본은 “점” 입니다.

이 개념을 시제에 갖고와 보도록 할게요. “현재 진행” 이라고 하는 시제는 “바로 지금, Now” 에 해당합니다. 1초 전, 0.5초 전, 0.05초 전의 시간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1초 후, 0.5초 후, 0.05초 후 의 시간을 말하는 것도 아닙니다. 말을 하고 있는 딱 그 때!!!!! 단 0.0000000000001 초의 오차도 없는

“바로 지금!!!” 그 것이 Now 이고, 그것이 현재 진행이며, “선”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점” 입니다.

3.3 과거 진행 시제 , 미래 진행 시제 도 역시 “점” 이다.

과거 진행도, 미래 진행도 역시 “점” 에 해당합니다. 과거 정확한 어떤 한 시간 때에 무엇을 했는지 표현할 때 쓰는게 “과거 진행” 입니다. 딱 과거의 그!!!때!!! 를 의미합니다. 미래 진행도 마찬가지 개념으로 미래의 딱 그!!! 때!!! 무엇을 할것이냐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진행 시제 를 쓸때는 “명확한 시간” 이 문장에 등장해야 합니다.

정확한 시점!! 그 “점”에 해당하는 표현이 진행 시제 이기 때문에, 대화에서 진행 시제를 쓸 때는, 상대방이 정확한 시점을 언급할 때 그에 대한 대답으로 쓰이게 됩니다. 그게 아니라면, 과거, 현재, 미래의 일반 시제로 써야 정확한 표현이겠습니다.


4. 일반 시제 (과거, 현재, 미래) 의 의미

우리가 흔히 아는 영어 시제가 과거, 현재, 미래 라는 시제 입니다. 아주 일반적인 개념이고 부담없이 받아들이고 써왔기 때문에, 이 일반시제들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고민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시제는 “점과 선”으로 이해해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반 시제

4.1 과거 시제는 Now 보다 이전의 시제이다.

과거 시제는 일반적으로 알 수 있듯이, 바로 지금의 Now 보다 이전의 시제를 의미합니다. 중요한 것은 과거 시제는 “‘점’ 이 아니라는 것” 입니다. 바로 지금에 해당하는 Now 보다 0.1 초, 0.0001초 이전이면 과거 입니다. 주의할점은 Now 보다 이전인것은 확실하지만, 그게 정확히 “과거의 점들중 언제인지에 대한 정보는 없다” 는 것입니다.
예시를 통해 보겠습니다.

ex. I went to a cafe
“Cafe에 갔었다” 라는 문장에는 “정확히 언제 갔는지” 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그게 과거임에는 확실합니다. 과거 언제갔고, 얼마나 머물렀고, 언제 돌아왔는지에대한 정보는 전혀 저 문장을 통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그저 “갔었다” 라는 과거의 의미만을 전달할 뿐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과거 시제는 ‘점이 아니다’” 라고 했는데, 그럼 “선”인가? 하는 것인데요, 과거 시제는 “선”도 아닙니다. 과거 시제든, 현재 시제든, 미래 시제든지 이들은 점도 선도 아니며, 특정 시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과거에 그러했다 라고 하는 일반적인 의미만을 전달합니다.

4.2 미래 시제는 Now 보다 이후의 시제이다.

미래 시제의 개념도, 위에서 언급한 과거 시제의 개념과 동일합니다. 다만, Now 보다 이후의 시제를 의미합니다. Now 보다 0.1초, 0.00001초 이후이면 모두 미래입니다. 그리고 미래 시제도 역시나 “미래에 대한 일반적인 의미, 사실” 만을 전달할 뿐, 그 어떤 특정 시점에대한 얘기도 아니며, 특정 기간에 대한 얘기도 아닙니다.

현재 시제는 Now 가 아니며, “모든 시간 전체” 를 아우르는 시제이다.

위에서 현재진행 시제를 이야기 할 때, “현재 시제” 가 언급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통상 얘기하는 “현재”는 대부분 Now 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시제적 개념에서는 Now 는 현재진행 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럼 대체 “현재 시제” 는 어떤 시제를 의미할까요? 결론부터 얘기하면 “모든 시간 전체” 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영어문법을 배우면서 “현재 시제가 사용되는 때” 를 한번쯤은 들어봤을 겁니다.

– 현재시제가 사용되는 때 (문법적 법칙)
– 습관적이고 반복적인 사실
– 불변의 진리

이 외에도 여러 사항이 더 있지만, 우선 대표적인 저 세개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예시를 통해 구체화해보겠습니다.
The earth has gravity. (There is gravity on the earth)
위의 예시를 보면, “지구에는 중력이 있다” 라는 말을 생각해 보면 현재시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중력은 늘 지구에 존재합니다. 즉 습관적이고 반복적인 사실입니다.
지구에 중력이 있다는것은 변하지 않는 진리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문법적 법칙에 따라 현재시제인 “has, is” 를 씁니다.


조금 다르게 이해해보겠습니다. 지구에 중력이 존재하는 것은 “과거”에도 그랬고, 바로 지금 “Now” 도 그렇고, “미래”에도 그럴 것입니다. 이게 바로 “현재 시제” 의 정체 입니다. 불변의 진리, 습관적이고 반복적인 사실! 이것이 의미하는바가 바로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 “Now”에도 그렇고, “미래”에도 그럴 것 이라는 “모든 시간 전체”를 아우르는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현재 시제”는 “모든 시간 전체” 를 아우르는 시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완료 시제 (과거 완료, 현재 완료, 미래 완료) 의 의미

완료 시제라고하는 것은 한국인들이 특히나 어려워 합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시제이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진짜 그럴까요? 아래의 설명을 통해 진짜 그러한지 판단해 보면 좋을 듯 합니다. 통상 완료 시제에 대해 배울때 “경험, 완료, 계속, 결과” 의 의미라고 배우는데요, 대체 무슨말을 하는건지 마음에 와닿지도 않고, 이해는 더더욱 안됩니다. 저렇게 배운적이 있었다면, 그 개념은 과감하게 버리시길 바랍니다.

완료 시제는 그렇게 배울게 아니라, 점과 선으로 이해해야만 완벽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진행 시제가 “점” 에 해당하였다면, 이 완료 시제는 “선”에 해당합니다. 여러 점들의 집합체라는 의미입니다.

완료 시제

5.1 현재 완료 시제는 “과거 어느 시점부터 그 이후 Now 바로 직전 중 특점 시점까지” 만을 의미한다.

현재 완료 시제는 Have + PP (과거분사) 형태로 쓰여서, 통상 “과거 부터 현재까지”를 의미한다고 배웁니다. 이렇게 배우면 현재 완료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다시 점과 선의 개념을 이용하여 이해해보겠습니다.
I have lived in Seoul
이 예시의 의미는 “나는 과거에 어떤 시점부터해서 서울에 살았었다.” 입니다. 그럼 과거 어느시점이 언제일까요? 모릅니다. 그저 과거에 그랬었다는 의미만 전달할 뿐입니다. 그래서 좀 더 의역하면 “나는 서울에 살았던 경험이 있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완료시제를 배울때 “경험”의 의미이다 라고 하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한발 더 나아가 보겠습니다.


서울에 살았었다는데, 그럼 지금은 살고 있는건가요? I have lived in Seoul 이라는 문장만으로는 “지금 서울에 살고있다”는 의미는 알 수 없습니다. 모릅니다! 현재완료의 문장은 “바로 지금, Now” 에 대한 그 어떤 의미도 내포하고 있지 않습니다.


저 위의 점과 선으로 표시한 그림에서, 현재완료쪽을 보시면, 과거 어느 시점에서 시작은 했는데, 바로 지금 Now 에 해당하는 점은 점이 검정색으로 채워지지 않고,하얗게 되어있지요? 이것이 나타내는게 “바로 지금 Now 에 대한 의미는 내포하지 않는다” 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보고나니 과거 어느 시점 부터해서 바로 지금의 Now 직전 까지 “선” 으로 이어진 시제가 현재 완료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5.2 과거 완료 시제는 “과거 어느 시점부터 이후의 특정 과거 시점 직전 까지” 만을 의미한다.

과거 완료 시제 (Had + PP) 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과거”라는 개념을 잠깐 언급해야 합니다. “대과거”는 실제로 존재하는 시제는 아닙니다. 대과거도 엄연히 그저 과거입니다. 다만, “시점의 비교”가 이루어지는 맥락 혹은 문장에서는 분명 먼저인 사건이 있고, 나중인 사건이 있을 겁니다. 이때 먼저인 사건이 바로 대과거의 시점이 되고, 나중인 사건이 과거의 시점이 됩니다. 어찌되었든 두 사건 모두 “바로 지금, Now” 보다 이전에 발생한 사건임에는 분명합니다.

– I had lived in Seoul before I moved to Jeju.

이번에도 이 예시를 통해 파악해보면, “나는 과거에 제주로 이사왔는데, 제주로 이사오기 전까지 서울에 살았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과거 완료는 반드시 “비교되는 시점“이 있어야 합니다. 갑자기 과거 완료가 등장할 순 없습니다. before I moved to Jeju 가 없다면, had lived 라는 과거 완료 시제는 사용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역시나 잊지말아야 할 것은, 과거 완료 시제는 과거의 어느 시점 이후에 과거의 특정 시점 바로 직전까지 라는 겁니다. 그 특정 시점 바로 그때는 어땠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않습니다. 위의 그림상에서 역시나 하얀 동그라미로 되어 있는거 보이시지요?
결국, 과거 완료 시제는 과거 어느 시점 이후 과거 특정 시점 바로 직전까지 이어지는 “선” 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5.3 미래 완료 시제는 “미래 어느 시점부터 이후의 특정 미래 시점 직전 까지” 만을 의미한다.

미래 완료 시제는 will have + PP 로 표현이 되는데, 이 역시 현재완료 / 과거완료와 마찬가지의 접근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점과 선을 이용해서 미래 완료가 어떤 시제인지 어렵지 않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6. 완료 진행 시제 (과거 완료 진행, 현재 완료 진행, 미래 완료 진행) 의 의미

완료 진행 시제는 have been ~ing 로 표현이 됩니다.
여기까지 정독을 하셨으면, 이제 “진행 시제” 와 “완료 시제” 의 정체를 아셨을 겁니다.

완료 진행

완료 진행 시제는 어렵지 않습니다. “완료” 의 시제가 “선”에 해당하고, ~까지에 해당하는 특정 시점 바로 직전까지의 시제이기에 그 특정 시점은 결국 하얀 동그라미로 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
한편, “진행”의 시제는 “점”에 해당한다고 했지요? 그럼 “완료 진행”은 어떻게 될까요?
완료 시제에서 하얗게 칠해지지 않았던 그 하나의 Point 가 까맣게 칠해져서 그것까지도 포함하는 시제가 “완료 진행” 시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I have been living in Seoul

이문장을 해석하면 “나는 과거 어느 시점부터 이 말을 하고 있는 바로 지금까지도 서울에 살고있다” 는 의미가 됩니다.

과거 완료 진행, 현재 완료 진행, 미래 완료 진행 모두 다 이렇게 “점과 선” 으로 이해하면 완벽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6.1 영어의 완료 시제 , 한국어에는 없다?

위에서 언급했듯, 한국인들은 “완료”시제를 어려워 합니다. 그 이유는 “한국어에는 없어서” 라고 합니다. 그런데 과연 정말 그럴까요?

A: 너는 한국말고 다른 나라에 살아본 적이 있니?
B : 응! 미국에서 살았었어.

위의 짧은 대화에서 “미국에서 살았었어.” 라고 하는 말의 시제가 무엇인가요? 통상 “과거”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정확히는 “완료” 시제 입니다. 미국에서 살았다는게 시간선상에서 딱 한 때 인가요? “점”에 해당할까요? 아닙니다. 미국에서 1개월이든 2개월이든 아니면 1일이든 6시간이든 어느정도의 시간을 살았을 겁니다. 다시말해, 과거 어느 시점 이후에 과거 특정 시점까지 살았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이는 완료 시제 이고, 영어로 표현하게 되면, “I have lived in America” 가 됩니다.

한국어로 “미국에서 살았었어” 라고 말을 할 때, 듣고있는 우리는 압니다. 지금 미국에 살고 있지 않으며, 과거에 어느정도기간 미국에서 살았다는 것을요. 이미 머리속에서는 “완료”의 개념으로 저 한국어를 이해합니다. 다만, 한국어의 표현상에서는 “완료” 라는 표시가 되지 않고, 과거로 표현이 될 뿐입니다. 우리 머리는 이미 완료의 시제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영어에는 그저 have PP 라고 하는 표현이 있을 뿐, 개념적인 내용은 한국어에도 영어에도 모두 존재합니다.

모든 언어는 공통된 개념을 공유하며, 다만 표현상의 차이만 있을 뿐임을 알아야 합니다.

그렇기에, 모국어가 영어가 아닌 그 누구든지 영어를 정복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영어에는 진행 시제, 일반 시제, 완료 시제의 조합으로 총 12가지의 영어 시제가 있습니다.

– 현재. 과거. 미래. 현재 진행. 과거 진행. 미래 진행. 현재 완료. 과거 완료. 미래 완료. 현재 완료 진행. 과거 완료 진행. 미래 완료 진행.

어떤가요? 보기만해도 어지럽지 않은가요? 저거를 어떻게 그저 외우기만 할 수 있을까요?
그러므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이해를 위해서 “영어 시제의 점과 선” 의 개념을 꼭 떠올리시기 바랍니다.

아주 핵심만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 되겠습니다.
※ Now 는 현재가 아니다!!!
※ 영어 시제는 선형적으로 점과 선으로 되어 있다.
※ 검정색 점은 바로 그 시점을 포함하는 것이고, 하얀색 점은 바로 그 시점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영어 시제

다소 복잡하고, 긴 설명의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