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부정사는 어려운게 아니다 : 기초부터 고급까지

to부정사

영어 문법 중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to부정사’입니다. To부정사는 다양한 역할을 하며 문장의 구조나 의미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to부정사의 정의부터 시작해, 그 쓰임새와 주요 문법적 기능, 그리고 다양한 예문을 통해 to부정사의 모든 측면을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To부정사의 정의

To부정사란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구문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to eat”, “to run”, “to learn” 등이 모두 to부정사에 속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to’가 전치사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To부정사는 그 자체로 하나의 동사적 성격을 지닌 형태이기 때문에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o부정사의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to + 동사원형 (예: to go, to sing, to read)

이제 to부정사가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2. To부정사의 주요 역할

To부정사는 크게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기능을 하며, 각각의 기능에 따라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2.1. 명사적 기능

To부정사가 명사처럼 쓰일 때는 주어, 목적어, 보어 등의 역할을 합니다. 이 경우 to부정사는 동작이나 행위를 추상적으로 나타내며, 어떤 행동을 하는 것 자체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1.1. 주어로 쓰이는 경우

to부정사가 주어로 쓰일 때는 문장의 처음에 위치하며, 주어로서 주된 행동이나 상황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 To study hard is important.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 To travel around the world is my dream. (세계 여행을 하는 것이 나의 꿈이다.)

이처럼 to부정사가 문장의 주체로서 행위를 나타내는 경우, 주어 역할을 하게 됩니다.

2.1.2.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

to부정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는 주로 동사 뒤에 위치하여 동작의 대상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 I want to eat pizza. (나는 피자를 먹고 싶다.)
  • She decided to leave early. (그녀는 일찍 떠나기로 결심했다.)

이 경우, ‘to eat pizza’나 ‘to leave early’가 목적어로서 동작의 대상을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2.1.3. 보어로 쓰이는 경우

to부정사가 보어로 쓰일 때는 주어와 동사를 보충 설명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be동사’ 뒤에 위치하여 주어의 상태나 본질을 설명합니다.

  • My goal is to become a doctor. (나의 목표는 의사가 되는 것이다.)
  • His dream is to live in Paris. (그의 꿈은 파리에서 사는 것이다.)

여기서 ‘to become a doctor’나 ‘to live in Paris’가 각각 주어의 상태를 보충 설명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2. 형용사적 기능

To부정사는 형용사처럼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도 합니다. 이때 to부정사는 주로 명사 뒤에서 명사를 설명하며, 그 명사가 특정 동작이나 상태와 관련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 I have a lot of work to do. (나는 해야 할 일이 많다.)
  • She is the best person to ask for advice. (그녀는 조언을 구할 최고의 사람이다.)

이처럼 to부정사가 형용사처럼 쓰이면 명사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2.3. 부사적 기능

To부정사는 부사적으로 쓰일 때, 주로 동사, 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를 수식하며 그 의미를 보충 설명합니다. 목적, 원인, 결과 등을 나타낼 때 많이 사용됩니다.

2.3.1. 목적을 나타낼 때

to부정사는 문장에서 ‘~하기 위해서’라는 의미로 쓰여 동작의 목적을 설명합니다.

  • I went to the library to study. (나는 공부하기 위해 도서관에 갔다.)
  • She called him to ask for help. (그녀는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그에게 전화를 했다.)

이 경우, ‘to study’와 ‘to ask for help’가 각각 문장에서 목적을 나타냅니다.

2.3.2. 감정의 원인을 나타낼 때

to부정사는 형용사를 수식하여 감정의 원인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I am happy to see you. (나는 너를 만나서 기쁘다.)
  • She was surprised to hear the news. (그녀는 그 소식을 듣고 놀랐다.)

이처럼 감정의 이유를 설명할 때도 to부정사가 쓰일 수 있습니다.

2.3.3. 결과를 나타낼 때

to부정사는 때때로 결과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특히, enough + 명사/형용사 + to부정사 구조나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can 구조에서 결과를 나타내는 용도로 자주 사용됩니다.

  • He ran fast enough to catch the bus. (그는 버스를 잡을 만큼 충분히 빨리 달렸다.)
  • She is so kind to help me. (그녀는 나를 도울 만큼 친절하다.)

3. To부정사의 기타 용법

To부정사는 위의 세 가지 기능 외에도 몇 가지 추가적인 문법적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도’나 ‘결심’을 나타내는 동사 뒤에서 자주 사용되며, 고정된 표현으로 사용될 때도 많습니다.

3.1. 의도를 나타내는 경우

동사 중 일부는 의도나 계획을 나타내며, 이 동사들 뒤에는 자주 to부정사가 사용됩니다.

  • I plan to visit London next year. (나는 내년에 런던을 방문할 계획이다.)
  • They intend to start a new business. (그들은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3.2. 고정된 표현

영어에서는 to부정사가 특정한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고정된 표현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 To tell the truth (사실대로 말하자면)
  • To be honest (솔직히 말해서)
  • To begin with (우선)

이러한 표현들은 문장에서 관용구처럼 사용되며, 전체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To부정사와 동명사의 차이

영어에서는 동사의 역할을 하는 다른 형태로 ‘동명사(gerund)’가 있습니다. 동명사 역시 동사 원형에 ‘-ing’가 붙어 명사처럼 쓰이는 구조입니다. To부정사와 동명사는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의미나 사용되는 맥락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4.1. To부정사를 사용하는 경우

to부정사는 주로 미래적 또는 추상적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I hope to pass the exam. (나는 시험에 합격하기를 희망한다.)
  • She promised to call me later. (그녀는 나중에 전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문장들에서 볼 수 있듯이, to부정사는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이나 결심, 의도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4.2. 동명사를 사용하는 경우

동명사는 주로 이미 일어난 행동이나 일반적인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I enjoy swimming. (나는 수영하는 것을 즐긴다.)
  • She admitted cheating on the test. (그녀는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음을 인정했다.)

이 문장들에서 동명사는 과거에 발생했거나 반복적인 행동을 설명할 때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부 동사들은 동명사와 to부정사 둘 다 사용할 수 있지만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 I forgot to lock the door. (나는 문을 잠그는 것을 깜빡했다.)
  • I forgot locking the door. (나는 문을 잠근 것을 잊어버렸다.)

첫 번째 문장은 아직 문을 잠그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두 번째 문장은 문을 잠갔지만 그 사실을 잊어버린 상황을 나타냅니다.

5. To부정사의 부정형

To부정사를 부정할 때는 부정어 ‘not’을 to부정사 앞에 위치시킵니다. 즉, “to not + 동사원형”의 형태를 취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 I decided not to go to the party. (나는 파티에 가지 않기로 결정했다.)
  • She asked him not to be late. (그녀는 그녀는 그에게 늦지 말라고 요청했다.)

위 예문에서 볼 수 있듯이, ‘not’은 to부정사 바로 앞에 위치하여 동작을 부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to부정사의 부정형을 만드는 방식은 간단하며, 동사의 의미를 반대로 나타내는 데 유용합니다.

6. To부정사를 사용하는 주요 동사

일부 동사들은 to부정사를 주로 목적어로 받으며, 이러한 동사들은 관용적으로 to부정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다음과 같은 동사들을 들 수 있습니다.

6.1. To부정사를 취하는 주요 동사 목록

  1. want (원하다)
    • I want to learn English. (나는 영어를 배우고 싶다.)
  2. decide (결정하다)
    • She decided to study abroad. (그녀는 해외에서 공부하기로 결정했다.)
  3. plan (계획하다)
    • They plan to visit Japan next year. (그들은 내년에 일본을 방문할 계획이다.)
  4. hope (희망하다)
    • We hope to pass the exam. (우리는 시험에 합격하기를 희망한다.)
  5. promise (약속하다)
    • He promised to help me. (그는 나를 돕겠다고 약속했다.)
  6. refuse (거절하다)
    • She refused to answer the question. (그녀는 질문에 대답하기를 거절했다.)
  7. expect (기대하다)
    • They expect to win the game. (그들은 경기에서 이기기를 기대하고 있다.)
  8. offer (제안하다)
    • He offered to give me a ride. (그는 나를 태워주겠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동사들은 기본적으로 to부정사와 결합하여 문장에서 의도나 결심, 계획 등을 표현하는데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6.2. 기억할 점: 동사에 따른 형태 구별

일부 동사들은 동명사만을 목적어로 취하는 반면, 다른 동사들은 to부정사만을 취하거나, 둘 다 취하지만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영어 학습자들이 혼동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동사마다 어떤 형태를 취하는지를 잘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To부정사 vs. 동명사: 선택의 기준

앞서 설명한 것처럼, to부정사와 동명사는 비슷한 기능을 하면서도 차이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문장에서 어떤 형태를 사용할지 결정하는 데에는 몇 가지 기준이 존재합니다.

7.1. 미래 지향적인 경우: To부정사 사용

To부정사는 주로 아직 발생하지 않았거나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 I want to go to the beach. (나는 해변에 가고 싶다.)
  • They plan to meet next week. (그들은 다음 주에 만나기로 계획했다.)

이 문장들에서 to부정사는 미래의 행위에 대한 희망이나 계획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7.2. 일반적이거나 이미 일어난 일: 동명사 사용

동명사는 주로 일반적으로 반복되거나 이미 일어난 행동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 I enjoy reading books. (나는 책 읽는 것을 즐긴다.)
  • She admitted cheating on the test. (그녀는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음을 인정했다.)

이 경우, 동명사는 이미 일어났거나 현재 계속되고 있는 행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7.3. 두 가지 형태가 모두 가능한 경우

일부 동사들은 동명사와 to부정사 둘 다 사용할 수 있지만, 의미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동사들 중 대표적인 예시는 remember, forget, stop 등이 있습니다.

  • Remember:
    • I remembered to lock the door. (나는 문을 잠그는 것을 기억했다.) → 아직 잠그지 않았지만 잠그려는 행동을 기억하는 경우
    • I remember locking the door. (나는 문을 잠근 것을 기억한다.) → 이미 문을 잠근 상태에서 그 사실을 기억하는 경우
  • Forget:
    • She forgot to bring her keys. (그녀는 열쇠를 가져오는 것을 깜빡했다.) → 열쇠를 안 가져옴
    • She forgot bringing her keys. (그녀는 열쇠를 가져왔다는 것을 잊었다.) → 열쇠를 이미 가져왔으나 그 사실을 잊음
  • Stop:
    • He stopped to smoke. (그는 담배를 피우기 위해 멈췄다.) → 담배를 피우기 위해 잠시 멈춘 경우
    • He stopped smoking. (그는 담배를 끊었다.) → 흡연을 그만둔 경우

따라서 동명사와 to부정사 사이의 선택은 그 의미를 잘 파악하고, 문맥에 맞는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To부정사의 특수한 용법

To부정사는 일반적인 문장 구조 외에도 특수한 구문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구문들은 특정한 상황이나 문맥에서 사용되며, 이를 익혀두면 더욱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8.1. 형용사 + To부정사

형용사 뒤에 to부정사가 따라오며, 이때 to부정사는 그 형용사가 설명하는 대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냅니다.

  • It’s important to practice every day. (매일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 I’m glad to see you. (너를 만나서 기쁘다.)

형용사와 to부정사가 결합하면, 감정이나 의견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되는 구조가 됩니다.

8.2. 명사 + To부정사

명사 뒤에 to부정사가 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때 to부정사는 명사가 설명하는 동작을 구체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He has a lot of homework to do. (그는 해야 할 숙제가 많다.)
  • There’s nothing to worry about. (걱정할 것이 없다.)

이러한 표현은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명사를 보충 설명하는 방식으로 to부정사가 쓰입니다.

8.3. 의문사 + To부정사

의문사(what, how, when, where, who)와 to부정사가 결합하여 문장에서 특정한 정보를 물어보거나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I don’t know what to do. (나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 She taught me how to swim. (그녀는 나에게 수영하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이 경우, 의문사는 특정 정보를 나타내며, 그 뒤에 to부정사가 그와 관련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8.4. 목적격 보어로서의 To부정사

목적격 보어로 to부정사가 사용되면, 주로 지각동사사역동사 뒤에 위치하여 목적어의 상태나 행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 I saw her run. (나는 그녀가 달리는 것을 보았다.)
  • They let him go. (그들은 그를 가게 했다.)

하지만 사역동사나 지각동사에서, to부정사가 아닌 동사원형이 쓰일 때도 많습니다. 이때는 목적어와 그 이후 동작을 연결하는 구문으로 쓰이는 것입니다.

9. To부정사 구문의 축약

때로는 문장에서 반복되는 표현을 피하기 위해 to부정사 구문을 축약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특히, 동일한 주어를 가진 두 문장을 연결할 때, 두 번째 문장에서 중복된 부분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 I want to go to the party, but I don’t know if I should. (나는 파티에 가고 싶지만, 가야 할지 모르겠다.) → 두 번째 문장에서 “go to the party”가 생략됨.

이러한 축약된 표현은 영어를 더욱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

이처럼 to부정사는 영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장에서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요소입니다. 또한, 특정 동사들과 결합하여 독특한 의미를 형성하기도 하고, 문장에서 감정, 목적, 결과 등을 설명하는 데에 자주 사용됩니다.

To부정사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문장에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단계입니다. To부정사와 동명사의 차이, 그리고 이를 다양한 문장 구조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명확히 이해한다면 더 자연스럽고 풍부한 영어 표현을 구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