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 That : Which 대신 That만 써야 하는 경우

영어 문법을 공부하다 보면 관계대명사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that’은 ‘which’나 ‘who’와 바꿔 쓸 수 있는 경우가 많아 언제 어떻게 써야 할지 헷갈리곤 하죠.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오직 관계대명사 that만을 사용해야 자연스럽거나 문법적으로 올바른 표현이 됩니다. 오늘은 관계대명사 that을 반드시 써야 하는 경우들을 집중적으로 파헤쳐 보고, 다양한 예시를 통해 확실하게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백과사전 / 사전 : 관계대명사


1. 선행사가 사람과 사물/동물 모두를 포함할 때

가장 대표적으로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선행사가 사람과 사물 또는 사람과 동물을 동시에 지칭할 때입니다. 이 경우, ‘who’나 ‘which’ 어느 하나만 사용하기 어색하므로 that을 사용해 둘 다 자연스럽게 수식합니다.

  • 예시:
    • Look at the boy and his dog that are running in the park. (공원에서 뛰고 있는 소년과 그의 개를 보세요.)
      • 소년(사람)과 개(동물) 모두를 수식하므로 that이 적절합니다. ‘who’나 ‘which’ 단독으로는 어색합니다.
    • She told me about the people and places that she had visited. (그녀는 자신이 방문했던 사람들과 장소들에 대해 내게 말했다.)
      • 사람들과 장소들(사물)을 함께 언급하며 수식할 때 that이 쓰입니다.
    • The man and his car that were involved in the accident are now under investigation. (사고에 연루된 그 남자와 그의 차는 현재 조사 중이다.)
      • 이처럼 사람과 사물이 함께 선행사로 올 경우 that으로 연결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이처럼 선행사가 복합적일 때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하는 것은 관계대명사 용법의 중요한 규칙 중 하나입니다.

2. 선행사가 최상급 또는 서수일 때

선행사 앞에 최상급(the most, the -est 등)이나 서수(the first, the second, the only 등)가 붙어 특정 대상을 한정할 때, 주로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합니다. 이는 문장을 더 명확하고 강조하는 효과를 줍니다.

  • 최상급 예시:
    • This is the best movie that I’ve ever seen. (이것은 내가 본 영화 중 최고의 영화이다.)
      • ‘the best’라는 최상급이 선행사(movie)를 수식하므로 that을 씁니다.
    • She is the tallest girl that I know. (그녀는 내가 아는 가장 키가 큰 소녀이다.)
      • ‘the tallest’라는 최상급 표현 뒤에는 that이 자연스럽습니다.
    • He bought the most expensive watch that was available in the store. (그는 가게에서 살 수 있는 가장 비싼 시계를 샀다.)
  • 서수 예시:
    • He was the first student that solved the problem. (그는 그 문제를 푼 첫 번째 학생이었다.)
      • ‘the first’라는 서수가 선행사(student)를 꾸며주므로 that을 사용합니다.
    • This is the second chance that life has given me. (이것은 삶이 내게 준 두 번째 기회이다.)
      • ‘the second’ 와 같은 서수 다음에는 that을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The last person that leaves the room should turn off the lights. (방을 마지막으로 나가는 사람은 불을 꺼야 한다.)

최상급이나 서수가 사용된 경우, 관계대명사 which관계대명사 who도 문법적으로 틀리다고 할 수는 없지만,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일반적이고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3. 선행사 앞에 all, any, no, some, every, (the) only, (the) very, (the) same 등이 올 때

선행사가 all, any, no, (the) only, (the) very, (the) same, little, much 등과 같이 무언가를 한정하거나 강조하는 형용사의 수식을 받을 때 관계대명사 that을 주로 사용합니다.

  • 예시:
    • All that glitters is not gold. (반짝이는 모든 것이 금은 아니다.)
      • ‘All’이 선행사 역할을 하며, 이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로 that이 사용되었습니다.
    • Is there anything that I can do for you? (제가 당신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요?)
      • ‘anything’처럼 -thing으로 끝나는 대명사 뒤에도 that이 자주 옵니다.
    • He is the only person that can help us. (그는 우리를 도울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다.)
      • ‘the only’가 선행사(person)를 한정하므로 that을 씁니다.
    • This is the very book that I was looking for. (이것이 바로 내가 찾던 그 책이다.)
      • ‘the very’는 ‘바로 그’라는 강조의 의미로, 이때도 that을 선호합니다.
    • She told me the same story that she told you. (그녀는 당신에게 했던 똑같은 이야기를 내게도 했다.)
      • ‘the same’ 다음에도 that을 사용합니다.
    • There is no food that is left in the fridge. (냉장고에 남은 음식이 없다.)
      • ‘no’와 함께 쓰일 때도 that이 자연스럽습니다.

이러한 한정사들과 함께 쓰이는 관계대명사 that은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관계대명사 용법에서 중요한 부분이니 꼭 기억해두세요.

4. 의문사가 선행사일 때 (또는 의문사로 시작하는 절이 선행사일 때)

의문대명사(who, what, which 등) 자체가 선행사로 쓰이거나, 의문사로 시작하는 절이 선행사의 역할을 할 때, 그 뒤에는 관계대명사로 that을 사용합니다. 이는 ‘who who’나 ‘which which’와 같이 어색한 반복을 피하기 위함입니다.

  • 예시:
    • Who that has common sense would do such a thing?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가 그런 짓을 하겠는가?)
      • 선행사가 의문사 ‘Who’이므로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합니다. ‘Who who’는 어색합니다.
    • What is it that makes you so happy? (너를 그토록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이니?)
      • ‘What’이 선행사 역할을 하므로 관계대명사 that을 씁니다.
    • Which is the course that you want to take? (네가 수강하고 싶은 강좌는 어느 것이니?)
      • 선행사가 ‘Which’일 때도 관계대명사 that이 적절합니다.

이 경우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하면 문장이 훨씬 간결하고 명확해집니다.

5. 선행사가 -thing으로 끝나는 부정대명사일 때 (something, anything, nothing, everything)

선행사가 something, anything, nothing, everything과 같이 ‘-thing’으로 끝나는 부정대명사일 경우, 주로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합니다.

  • 예시:
    • Is there something that I should know? (내가 알아야 할 무언가가 있나요?)
    • I don’t want anything that will remind me of him. (나는 그를 떠올리게 하는 어떤 것도 원하지 않아.)
    • There is nothing that can stop me now. (이제 나를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 Everything that happened was my fault. (일어난 모든 일은 내 잘못이었다.)

이러한 부정대명사 뒤에는 관계대명사 that이 오는 것이 일반적인 관계대명사 용법입니다.

마무리하며

오늘은 관계대명사 that만을 사용해야 하는 주요 경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선행사가 ‘사람+사물/동물’, 최상급/서수의 수식을 받을 때, ‘all, any, no, (the) only’ 등과 함께 쓰일 때, 의문사가 선행사일 때, 그리고 ‘-thing’으로 끝나는 부정대명사를 수식할 때 관계대명사 that이 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물론, 관계대명사 which관계대명사 who와 혼용 가능한 경우도 많지만, 오늘 배운 내용들은 관계대명사 that의 고유한 쓰임새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정확한 관계대명사 용법은 자연스러운 영어 구사 능력의 핵심입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