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언제 ‘for’를, 언제 ‘of’를 사용할까?

영어 문법을 공부하다 보면 유독 헷갈리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전치사 ‘for’와 ‘of’의 구분입니다. 두 전치사 모두 To부정사의 행위를 누가 하는지 밝혀주는 역할을 하지만, 쓰이는 상황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for’와 ‘of’를 사용하여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를 나타내는 경우를 다양한 예시와 함께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To부정사 의미상 주어에 대한 궁금증을 완전히 해소하고 싶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세요!

네이버 백과사전 / 사전 : to부정사와 동명사의 쓰임


헷갈리는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왜 중요할까?

우리가 문장을 만들 때, To부정사가 나타내는 행위를 누가 하는지 명확히 밝혀줄 필요가 있을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부하는 것은 중요하다”라는 문장에서 ‘공부하는 것’이 누구에게 중요한지, 또는 누가 공부해야 하는지 특정하고 싶을 때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가 필요합니다. 의미상 주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하면 문장의 의미를 더욱 정확하고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유창하고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으로 이어집니다.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영어 문법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전치사 ‘for’의 사용

가장 일반적인 경우,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전치사 ‘for’ 뒤에 목적격 대명사나 명사 형태로 옵니다. ‘for’를 사용하는 경우는 To부정사의 행위가 일반적인 행위이거나, 그 행위가 특정 사람이나 사물에게 이익이 되거나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즉, To부정사의 행위가 주절의 주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거나, To부정사의 내용이 누군가에게 필요한 것임을 강조할 때 ‘for’를 사용합니다.

핵심 포인트: To부정사의 내용이 일반적인 사실이거나, 어떤 사람/사물에게 필요한 것일 때 ‘for’를 사용합니다.

예시 1: 일반적인 행위

  • It is difficult for me to learn Korean. (내가 한국어를 배우는 것은 어렵다.)
    • 여기서 ‘learn Korean’이라는 행위의 주체는 ‘me’입니다. 한국어를 배우는 것이 나에게 어려운 일반적인 상황을 나타냅니다.
  •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study hard.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중요하다.)
    • ‘study hard’라는 행위의 주체는 ‘students’이며, 학생들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냅니다.
  • It is necessary for us to protect the environment. (우리가 환경을 보호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 ‘protect the environment’의 주체는 ‘us’이며, 환경 보호가 우리에게 필요한 일반적인 사실을 말합니다.

예시 2: 목적이나 이익을 나타낼 때

  • She prepared dinner for him to eat. (그녀는 그가 먹을 저녁을 준비했다.)
    • ‘eat’라는 행위의 주체는 ‘him’이며, 그가 먹을 수 있도록 저녁을 준비했다는 목적을 나타냅니다. To부정사의 행위가 그에게 이익이 됨을 보여줍니다.
  • This book is easy for beginners to understand. (이 책은 초보자들이 이해하기 쉽다.)
    • ‘understand’의 주체는 ‘beginners’이며, 이 책이 초보자들에게 이해하기 쉽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To부정사의 내용이 초보자들에게 이익이 됩니다.
  • They built a ramp for wheelchairs to access. (그들은 휠체어가 접근할 수 있도록 경사로를 만들었다.)
    • ‘access’의 주체는 ‘wheelchairs’이며, 휠체어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을 나타냅니다.
  • It is not easy for me to finish this project by tomorrow. (내일까지 이 프로젝트를 끝내는 것은 나에게 쉽지 않다.)
    • ‘finish this project’의 주체는 ‘me’이며, 이 행위가 나에게 쉽지 않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예시 3: 형용사와 함께 사용될 때 (To부정사의 내용이 주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님)

  • It is good for your health to exercise regularly.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은 당신의 건강에 좋다.)
    • ‘exercise regularly’라는 행위가 ‘your health’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It is difficult for children to stay focused for a long time. (아이들이 오랜 시간 집중하는 것은 어렵다.)
    • 아이들에게 ‘stay focused’라는 행위가 어렵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It is hard for me to believe his story. (내가 그의 이야기를 믿는 것은 어렵다.)
    • 그의 이야기를 믿는 것이 나에게 어렵다는 사실을 말합니다.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전치사 ‘of’의 사용

반면에 전치사 ‘of’를 사용하는 경우는 To부정사의 행위가 주절의 주어, 즉 사람의 성격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사용될 때입니다. 즉, To부정사의 내용이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어떤 성격이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설명할 때 ‘of’를 사용합니다.

핵심 포인트: To부정사의 내용이 사람의 성격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관련될 때 ‘of’를 사용합니다.

‘of’와 함께 자주 쓰이는 성격/특성 관련 형용사: kind, nice, good, smart, clever, wise, foolish, stupid, generous, selfish, rude, polite, careful, careless, brave, courageous, considerate, thoughtful, mean, cruel 등

예시 1: 사람의 성격을 나타낼 때

  • It was kind of you to help me. (저를 도와주시다니 당신은 친절하시네요.)
    • ‘help me’라는 행위가 당신의 ‘kind’한 성격을 보여준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kind’는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 It was foolish of him to make such a mistake. (그는 그런 실수를 하다니 어리석었다.)
    • ‘make such a mistake’라는 행위가 그의 ‘foolish’한 성격을 보여줍니다.
  • It was generous of her to donate such a large amount. (그녀가 그렇게 많은 돈을 기부하다니 관대했다.)
    • ‘donate such a large amount’라는 행위가 그녀의 ‘generous’한 성격을 나타냅니다.
  • It was clever of you to solve the puzzle so quickly. (퍼즐을 그렇게 빨리 풀다니 당신은 영리하네요.)
    • ‘solve the puzzle’이라는 행위가 당신의 ‘clever’한 성격을 보여줍니다.

예시 2: 주어가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특정 성격 때문임을 강조할 때

  • It was careless of him to leave the door unlocked. (그가 문을 잠그지 않고 나간 것은 부주의했다.)
    • ‘leave the door unlocked’라는 행위가 그의 ‘careless’한 성격을 보여줍니다.
  • It was brave of them to rescue the drowning child. (그들이 물에 빠진 아이를 구조하다니 용감했다.)
    • ‘rescue the drowning child’라는 행위가 그들의 ‘brave’한 성격을 나타냅니다.
  • It is rude of you to interrupt me while I’m speaking. (제가 말하는 동안 당신이 저를 방해하는 것은 무례합니다.)
    • ‘interrupt me’라는 행위가 당신의 ‘rude’한 성격을 보여줍니다.
  • It was selfish of him to take all the food for himself. (그가 모든 음식을 혼자 다 먹다니 이기적이었다.)
    • ‘take all the food’라는 행위가 그의 ‘selfish’한 성격을 나타냅니다.

‘for’와 ‘of’ 구분의 미묘한 차이: 혼란을 피하는 팁

가끔 ‘It is good for me to do something’과 ‘It is good of you to do something’처럼 비슷한 문장에서 ‘for’와 ‘of’가 모두 사용될 수 있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핵심은 To부정사의 내용이 행위의 주체(사람)의 성격을 묘사하는지 아닌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 It is good for me to exercise. (운동하는 것이 나에게 좋다.)
    • 여기서 ‘good’은 운동이 내 건강에 이롭다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냅니다. 나라는 사람의 성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 It was good of you to offer help. (도움을 주시다니 당신은 훌륭했습니다.)
    • 여기서 ‘good’은 도움을 제안한 행위가 당신의 ‘훌륭한’ 성격을 보여준다는 의미입니다. 즉, 당신의 성격을 묘사하는 형용사로 쓰였습니다.

이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면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를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문제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for’와 ‘of’를 완벽하게 마스터하려면 많은 예시를 접하고 스스로 문장을 만들어보는 연습이 필수입니다. 다음 문장들을 보고 빈칸에 ‘for’ 또는 ‘of’ 중 어떤 전치사가 들어가야 할지 맞춰보세요.

  1. It is easy _____ him to learn new languages. (그가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은 쉽다.)
  2. It was brave _____ her to confront the bully. (그녀가 괴롭히는 사람에게 맞서다니 용감했다.)
  3. It is important _____ everyone to respect different cultures. (모든 사람이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것은 중요하다.)
  4. It was stupid _____ me to forget my keys. (내가 열쇠를 잊어버리다니 어리석었다.)
  5. It is difficult _____ you to work full-time and study at the same time. (당신이 풀타임으로 일하고 동시에 공부하는 것은 어렵다.)
  6. It was kind _____ them to invite us to their party. (그들이 우리를 파티에 초대하다니 친절했다.)

마무리하며무리하며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for’와 ‘of’의 사용 규칙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To부정사의 행위가 일반적인 사실이거나, 누구에게 필요한 것을 나타낼 때는 ‘for’를 사용하고, To부정사의 행위가 사람의 성격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관련될 때는 ‘of’를 사용한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이 두 가지 핵심 원칙과 다양한 예시를 통해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셨기를 바랍니다. 이제 To부정사 의미상 주어를 자신 있게 활용하여 더욱 정확하고 유창한 영어 문장을 구사해 보세요! 영어 문법 마스터를 향한 여정에 이 글이 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