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성 경화증 (Tuberous Sclerosis):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모든 것


결절성 경화증(Tuberous Sclerosis Complex, TSC)은 신체 여러 부위에 양성 종양(과오종)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 유전 질환입니다. 뇌, 신장, 심장, 폐, 피부 등 다양한 장기를 침범할 수 있어 그 증상 또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과거에는 이 질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최근 의학의 발전으로 결절성 경화증의 원인과 경과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있으며, 효과적인 치료법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결절성 경화증의 원인

결절성 경화증은 우리 몸의 세포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는 유전자인 TSC1 또는 TSC2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두 유전자는 각각 하마틴(Hamartin)과 튜버린(Tuberin)이라는 단백질을 만드는데, 이 단백질들은 mTOR 경로(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pathway)라는 세포 성장 신호 전달 체계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SC1 또는 TSC2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mTOR 경로가 과도하게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신체 여러 곳에 종양이 생기게 됩니다. 결절성 경화증 환자의 약 2/3는 부모에게 물려받은 것이 아닌, 새로운 돌연변이로 인해 질환이 발생하며, 나머지 1/3은 부모 중 한 명으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양상을 보입니다.

유전자단백질염색체 위치특징
TSC1하마틴 (Hamartin)9q34TSC2 변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미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음
TSC2튜버린 (Tuberin)16p13.3TSC1 변이에 비해 더 흔하고, 신경학적 증상이 더 심각한 경향이 있음

다양한 임상 증상

결절성 경화증은 “백인백색”의 질환이라고 불릴 만큼 환자마다 증상의 종류와 심각도가 매우 다릅니다. 이는 어떤 장기를 침범했는지, 종양의 크기와 위치가 어떤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주요하게 나타나는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경계 증상

뇌는 결절성 경화증에서 가장 흔하게 침범되는 장기 중 하나이며, 다양한 신경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뇌 결절 (Cortical Tubers): 대뇌 피질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뇌 조직으로, 결절성 경화증의 가장 특징적인 소견입니다. 간질 발작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 뇌실막하 결절 (Subependymal Nodules, SEN): 뇌실의 벽을 따라 발생하는 작은 결절입니다. 대부분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일부는 크기가 커져 뇌실막하 거대세포 성상세포종(SEGA)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뇌실막하 거대세포 성상세포종 (Subependymal Giant cell Astrocytoma, SEGA): 뇌실막하 결절이 커져서 생긴 양성 뇌종양입니다. 뇌척수액의 흐름을 막아 뇌수두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두통, 구토, 시력 변화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간질 발작: 결절성 경화증 환자의 약 85%가 경험하는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특히 영아기에 나타나는 영아 연축(Infantile spasms)은 발달 지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정신 발달 지연 및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약 50%의 환자에게서 지적 장애가 나타나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공격성, 불안 등 다양한 정신행동 문제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총칭하여 ‘TSC 관련 신경정신질환(TAND)’이라고 합니다.

2. 피부 증상

피부 증상은 환자의 약 90% 이상에서 나타나며, 결절성 경화증을 진단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 탈색소반 (Hypomelanotic macules): 일명 ‘백색 반점’으로 불리며, 나뭇잎 모양의 흰색 반점이 몸통이나 팔다리에 나타납니다. 출생 시부터 관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얼굴 혈관섬유종 (Facial angiofibromas): 붉거나 분홍색의 작은 뾰루지 같은 것들이 코 주변, 뺨, 턱에 나비 모양으로 분포합니다. 주로 유아기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 샤그린 반점 (Shagreen patch): 허리 아랫부분에 주로 나타나는 오렌지 껍질처럼 거칠고 융기된 피부 병변입니다.
  • 손발톱 주위 섬유종 (Ungual or periungual fibromas): 손톱이나 발톱 주변에 생기는 작은 살점 같은 종양으로, 주로 청소년기 이후에 발생합니다.
  • 이마 섬유성 반 (Fibrous cephalic plaque): 이마에 나타나는 섬유성 조직으로 구성된 융기된 반점입니다.
피부 증상특징발생 시기
탈색소반나뭇잎 모양의 흰색 반점 (3개 이상 시 의미)출생 시 또는 영아기
얼굴 혈관섬유종코와 뺨 주변의 붉은 뾰루지유아기 이후
샤그린 반점허리 아래쪽의 거친 피부 융기아동기
손발톱 주위 섬유종손발톱 주변의 살점 같은 종양청소년기 이후

3. 신장 증상

신장 침범은 결절성 경화증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될 수 있어 정기적인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 혈관근육지방종 (Angiomyolipoma, AML): 신장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종양으로, 지방, 근육, 혈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종양의 크기가 커지면 출혈을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신장 낭종 (Renal cysts): 신장에 물혹이 다발성으로 생길 수 있으며, 드물게는 다낭성 신종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4. 기타 증상

  • 심장 횡문근종 (Cardiac rhabdomyoma): 영아기에 발견되는 가장 흔한 심장 종양입니다. 대부분 출생 후 크기가 저절로 줄어들어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크기가 크거나 위치가 좋지 않으면 부정맥이나 혈류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폐 림프관평활근종증 (Lymphangioleiomyomatosis, LAM): 주로 가임기 여성에게 발생하는 폐 질환으로, 폐에 비정상적인 근육 세포가 증식하여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눈 망막 과오종 (Retinal hamartoma): 망막에 생기는 종양으로, 대부분 시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결절성 경화증의 진단

결절성 경화증의 진단은 특징적인 임상 증상들을 종합하거나, 유전자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2021년에 개정된 국제 진단 기준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확진 (Definite Diagnosis)

  • 유전학적 진단: TSC1 또는 TSC2 유전자에서 병원성 돌연변이가 확인되는 경우
  • 임상적 진단: 2개의 주 진단 기준(Major features)을 충족하거나, 또는 1개의 주 진단 기준과 2개 이상의 부 진단 기준(Minor features)을 충족하는 경우
주 진단 기준 (Major Features)부 진단 기준 (Minor Features)
1. 탈색소반 (3개 이상, 직경 5mm 이상)1. “색종이” 피부 병변
2. 얼굴 혈관섬유종 (3개 이상) 또는 이마 섬유성 반2. 치아 에나멜 함몰 (3개 이상)
3. 손발톱 주위 섬유종 (2개 이상)3. 구강 내 섬유종 (2개 이상)
4. 샤그린 반점4. 망막 무색소반
5. 다발성 망막 과오종5. 다발성 신장 낭종
6. 뇌 피질 이형성증6. 비신장성 과오종
7. 뇌실막하 결절
8. 뇌실막하 거대세포 성상세포종 (SEGA)
9. 심장 횡문근종
10. 폐 림프관평활근종증 (LAM)
11. 혈관근육지방종 (2개 이상)

결절성 경화증의 치료 및 관리

결절성 경화증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증상을 조절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있습니다. 특히 mTOR 경로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이 경로를 억제하는 약물인 mTOR 억제제(에베로리무스, 시롤리무스)가 치료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 약물 치료
    • 항경련제: 간질 발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영아 연축에는 비가바트린(Vigabatrin)이 1차 치료제로 권고됩니다.
    • mTOR 억제제: 뇌실막하 거대세포 성상세포종(SEGA), 신장 혈관근육지방종(AML)의 크기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입증되어 활발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부 간질 발작이나 피부 병변에도 효과를 보입니다.
  • 수술적 치료
    •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뇌종양(SEGA)이나 간질의 경우 수술적 제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출혈 위험이 있는 큰 신장 혈관근육지방종은 색전술이나 수술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치료
    • 얼굴 혈관섬유종은 레이저 치료나 국소 도포용 mTOR 억제제 연고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 발달 지연이나 행동 문제가 있는 경우, 재활 치료, 언어 치료, 행동 치료 등이 필요합니다.

결절성 경화증은 평생에 걸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복합적인 질환이므로, 신경과, 소아청소년과, 신장내과, 피부과, 안과, 유전학과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다학제적 팀의 정기적인 추적 관찰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치료법들이 계속 연구되고 있으므로, 전문 의료진과 긴밀히 협력하며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