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의 문법적 의미적 차이


“만약 ~라면, ~할 텐데…”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만약’이라는 상상, 영어에서는 이를 ‘가정법’으로 표현합니다. 하지만 많은 영어 학습자들이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완료’라는 용어 앞에서 좌절합니다. 이름에 ‘과거’가 들어가서 시제를 혼동하거나, 두 가지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영문법의 큰 산 중 하나인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의 모든 것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더 이상 두려움 없이 자신감 있게 가정법을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가정법의 기본 개념: ‘사실’이 아닌 ‘상상’

가정법을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열쇠는 이것이 ‘사실(Fact)’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Imagination)’이나 ‘가정(Hypothesis)’을 말한다는 점입니다. 내가 실제로 겪는 일이 아닌, 머릿속으로 그려보는 상황을 표현하는 문법이죠.

가정법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학습자들이 가장 혼동하는 것은 바로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입니다. 이 둘을 구분하는 핵심 기준은 바로 ‘상상하는 시점’입니다. 지금 또는 미래의 일을 상상하는지, 아니면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의 일을 상상하는지에 따라 형태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현재와 미래를 상상하는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라는 이름 때문에 많은 분들이 과거 시제를 떠올리지만, 이는 가장 큰 오해입니다. 가정법 과거는 현재나 미래에 대한 실현 불가능하거나 가능성이 매우 낮은 일을 상상할 때 사용합니다. 이름은 ‘과거’지만, 의미는 ‘현재 또는 미래’를 향하고 있는 것이죠.

공식 (Form): If + 주어 + 과거형 동사 …, 주어 + would/could/might + 동사원형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If절 안의 동사가 ‘과거형’이라는 점입니다. 이것은 과거의 일을 말하기 위함이 아니라, “이것은 사실이 아니라 상상입니다”라는 약속된 신호(signal)입니다.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If I won the lottery, I would buy a house.
    • (만약 내가 복권에 당첨된다면, 집을 살 텐데.)
    • 속뜻: 현재 나는 복권에 당첨되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하지만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난다고 상상해보는 것입니다.
  • If I had more time, I could learn another language.
    • (만약 내게 시간이 더 있다면, 다른 언어를 배울 수 있을 텐데.)
    • 속뜻: 현재 나는 시간이 없어서 다른 언어를 배울 수 없다.

‘be’ 동사의 특별한 규칙: was 대신 were

가정법 과거에서 ‘be’ 동사를 사용할 때는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상관없이 were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구어체에서는 was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문법적으로 올바른 표현이자 격식 있는 표현은 were입니다.

  • If I were you, I would not do that. (O)
  • If he were rich, he would travel the world. (O)
가정법 과거 핵심 정리
의미현재 또는 미래 사실에 반대되거나 실현 가능성이 낮은 상상
형태If + 주어 + 과거형 동사 …, 주어 + 조동사 과거형(would/could) + 동사원형
시점현재 또는 미래
핵심‘과거’라는 이름에 속지 말자! 의미는 현재/미래를 향한다.

이처럼 가정법 과거는 현재의 아쉬움이나 미래의 상상을 표현하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정복해야 할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의 첫 번째 파트입니다.

과거를 후회하고 바꾸는 ‘가정법 과거완료’

이제 가정법 과거 과거완료의 두 번째 파트인 ‘가정법 과거완료’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문법은 이름과 의미가 일치하여 조금 더 직관적입니다. 가정법 과거완료는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의 일에 대해 반대로 상상하거나 후회할 때 사용합니다.

“그때 공부를 더 열심히 했더라면…”, “그 기차를 놓치지 않았더라면…”처럼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과거를 되돌려보는 상상이죠.

공식 (Form): If + 주어 + had p.p. (과거완료) …, 주어 + would/could/might + have p.p.

If절에는 had p.p. 형태가, 주절에는 would/could/might 뒤에 have p.p. 형태가 따라옵니다. 형태가 조금 더 복잡해 보이지만, ‘과거의 상상’이라는 의미와 연결하면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보겠습니다.

  • If I had studied harder, I would have passed the exam.
    • (만약 내가 공부를 더 열심히 했더라면, 그 시험에 합격했을 텐데.)
    • 속뜻: 과거에 나는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았고, 그래서 시험에 떨어졌다.
  • If we had left earlier, we could have caught the train.
    • (만약 우리가 더 일찍 떠났더라면, 그 기차를 탈 수 있었을 텐데.)
    • 속뜻: 과거에 우리는 늦게 떠나서 기차를 놓쳤다.
가정법 과거완료 핵심 정리
의미과거 사실에 반대되는, 실현되지 못한 상상이나 후회
형태If + 주어 + had p.p. …, 주어 + 조동사 과거형(would/could) + have p.p.
시점과거
핵심돌이킬 수 없는 과거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한다.

이제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의 두 가지 형태를 모두 배웠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 둘을 어떻게 구분하고 적재적소에 사용하는가입니다.

‘가정법 과거’ vs ‘가정법 과거완료’: 한눈에 보는 핵심 차이

두 가정법의 가장 큰 차이는 ‘상상하는 시점’입니다. 내가 지금 상상하는 내용이 현재/미래에 대한 것인지, 아니면 과거에 대한 것인지만 구분하면 절대 헷갈릴 일이 없습니다.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표를 통해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의 차이점을 한눈에 비교해 보세요.

구분가정법 과거 (Present/Future Unreal)가정법 과거완료 (Past Unreal)
의미현재/미래에 대한 상상과거에 대한 상상 (후회, 아쉬움)
핵심 질문“만약 지금 ~라면?”“만약 그때 ~했더라면?”
If절 형태If + 주어 + 과거형 동사If + 주어 + had p.p.
주절 형태주어 + would/could + 동사원형주어 + would/could + have p.p.
예시If I knew her number, I would call her.
(그녀의 번호를 안다면 전화할 텐데.) → 현재 모름
If I had known her number, I would have called her.
(그녀의 번호를 알았더라면 전화했을 텐데.) → 과거에 몰랐음

이 표만 머릿속에 넣어두면,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를 혼동할 가능성은 크게 줄어들 것입니다. 문장을 만들기 전에 내가 하려는 말이 현재에 대한 상상인지, 과거에 대한 후회인지를 먼저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혼합 가정법 (Mixed Conditionals)

기본적인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를 마스터했다면, 한 단계 더 나아가 ‘혼합 가정법’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혼합 가정법은 이름처럼 If절과 주절의 시제가 다른 경우를 말합니다.

  • 과거의 일이 현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형태: If + 주어 + had p.p. …, 주어 + would/could + 동사원형
    • If I had taken the subway, I would be there now.
      • (만약 내가 (과거에) 지하철을 탔더라면, (지금) 거기에 있을 텐데.)
      • 속뜻: 과거에 지하철을 안 타서, 현재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했다.

이처럼 혼합 가정법은 과거의 행동이 현재의 결과로 이어지는 상황을 묘사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의 기본 규칙을 응용하는 것이므로, 기본기가 탄탄하다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오늘은 영어 학습자들을 괴롭히는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았습니다.

핵심을 다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가정법 과거: 이름은 ‘과거’지만 현재나 미래에 대한 실현 불가능한 상상. (If + 과거동사, would + 동사원형)
  2.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에 실현되지 못한 일에 대한 후회나 상상. (If + had p.p., would + have p.p.)

가장 중요한 것은 ‘과거’라는 문법 용어에 얽매이지 않고, 내가 상상하는 ‘시점’이 언제인지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