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시노스 2600 엑시노스 2500 비교: 삼성 AP의 결정적 세대 교체 (2나노 vs 3나노)


엑시노스 2600 엑시노스 2500 비교: 삼성 AP의 결정적 세대 교체

삼성전자의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엑시노스 라인업이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갤럭시 S24 시리즈에 탑재되었던 엑시노스 2400, 그리고 갤럭시 Z 플립 7 등 2025년 하반기 모델에 사용된 엑시노스 2500에 이어, 2026년 갤럭시 S26 시리즈에 탑재될 엑시노스 2600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번 엑시노스 2600 엑시노스 2500 비교는 단순한 숫자 업그레이드가 아닙니다. 공정 기술부터 코어 아키텍처, AI 성능까지 거의 모든 면에서 세대 교체 수준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칩셋의 차이점을 기술적인 관점에서 자세히 비교 분석합니다.

엑시노스 2600 엑시노스 2500 비교 핵심 차이

본격적인 비교에 앞서, 두 칩셋의 핵심 사양을 표로 요약 정리했습니다.

항목엑시노스 2500엑시노스 2600
제조 공정삼성 파운드리 3nm (SF3, 3GAP)삼성 파운드리 2nm (SF2, 2GAP)
CPU (코어 구성)10코어 (Deca-core) (Cortex-X5 기반 예상)10코어 (Deca-core) (Cortex-X6 또는 차세대 코어)
GPUXclipse 950 (AMD RDNA 3 기반)Xclipse 960 (AMD RDNA 4 기반 예상)
NPU (AI)전작 대비 39% 향상 (vs 2400)경쟁사 대비 압도적 성능 (루머)
주요 탑재 모델갤럭시 Z 플립 7 (2025년)갤럭시 S26 시리즈 (2026년 예정)

3나노(SF3)에서 2나노(SF2)로

엑시노스 2600 엑시노스 2500 비교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제조 공정입니다.

엑시노스 2500은 삼성의 3나노 2세대 공정(SF3)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업계 최초로 GAA(Gate-All-Around) 트랜지스터 구조를 적용한 3나노 공정의 개선 버전입니다. 엑시노스 2500은 이 공정을 통해 갤럭시 S25 시리즈 탑재를 목표로 했으나, 당시 수율 문제로 플래그십 라인업을 건너뛰고 하반기 폴더블 모델에 적용되었습니다.

반면 엑시노스 2600은 삼성 파운드리의 차세대 2나노 공정(SF2)을 전면적으로 채택합니다. 2나노 공정은 3나노 대비 트랜지스터 밀도를 높여 동일 면적에 더 많은 기능을 집적하거나, 동일 기능 수행 시 전력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삼성의 SF2 공정은 전력 효율성과 성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엑시노스 2600은 이 최신 공정의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는 첫 번째 플래그십 AP가 될 것입니다.

CPU 성능: 아키텍처의 진화

두 칩셋 모두 10개의 코어(Deca-core)를 사용하는 구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내부 코어 아키텍처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엑시노스 2500은 Arm의 2024년형 최신 코어(Cortex-X5, A730, A530 등)를 기반으로 10코어를 구성했습니다. 이는 전작(엑시노스 2400) 대비 멀티코어 성능에서 약 15% 이상 향상된 수치를 보여주었습니다.

CPU 비교엑시노스 2500 (예상)엑시노스 2600 (예상)
최고 성능 코어Cortex-X5Cortex-X6 (또는 차세대)
고성능 코어Cortex-A730Cortex-A740 (또는 차세대)
저전력 코어Cortex-A530Cortex-A540 (또는 차세대)

엑시노스 2600은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간 Arm의 차세대 코어(Cortex-X6 등)를 탑재할 것으로 보입니다. 초기 벤치마크 루머에 따르면, 엑시노스 2600의 CPU 멀티코어 성능은 엑시노스 2500 대비 30% 이상, 심지어 애플 A19 Pro나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5세대와 비교해도 대등하거나 우위에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2나노 공정의 안정화와 더불어 최신 코어 아키텍처가 결합된 결과로, 엑시노스 역사상 가장 강력한 CPU 성능을 기대하게 만듭니다.

GPU: Xclipse의 비약적인 발전

AMD와의 협력을 통해 탄생한 Xclipse GPU 역시 큰 폭의 변화를 맞이합니다.

엑시노스 2500에는 RDNA 3 아키텍처 기반의 Xclipse 950 GPU가 탑재되었습니다. 하드웨어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하며 모바일 게임 환경에서 준수한 성능을 제공했습니다.

엑시노스 2600에는 코드명 ‘Scorpio’로 알려진 Xclipse 960 GPU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AMD의 최신 RDNA 4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될 가능성이 높으며, 루머에 따르면 그래픽 성능이 경쟁사 AP(A19 Pro) 대비 최대 75%까지 높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만약 이 루머가 사실이라면, 엑시노스 2600은 모바일 GPU 성능의 왕좌를 차지하게 되며, 이는 고사양 게임 플레이는 물론, 고해상도 영상 편집 및 AI 기반 그래픽 처리에서도 막강한 성능을 발휘할 것입니다. 엑시노스 2600 엑시노스 2500 비교에서 GPU는 CPU만큼이나 극적인 차이를 보이는 부분입니다.

NPU (AI): 비교 불가능한 도약

온디바이스 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NPU(신경망 처리 장치)의 중요성은 CPU나 GPU 못지않게 커졌습니다.

엑시노스 2500의 NPU는 전작 대비 39% 향상된 AI 연산 능력을 보여주며 2025년형 AI 스마트폰에 필요한 성능을 제공했습니다.

하지만 엑시노스 2600의 NPU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성능을 목표로 합니다. 최신 정보에 따르면, 엑시노스 2600의 NPU 성능은 애플 A19 Pro 대비 6배, 퀄컴 칩 대비 30%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정도의 성능 향상은 단순히 앱 실행 속도를 높이는 것을 넘어, 스마트폰 자체에서 실시간 통역, 복잡한 이미지 생성, 고도화된 AI 비서 기능을 지연 없이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엑시노스 2600은 삼성이 ‘AI 폰’의 기준을 새로 쓰기 위해 전략적으로 개발한 칩으로 보입니다.

엑시노스 2600이 가지는 의미

엑시노스 2500이 3나노 공정의 안정화와 성능 개선을 꾀한 ‘과도기적 플래그십’이었다면, 엑시노스 2600은 2나노 공정을 기반으로 CPU, GPU, NPU 모든 면에서 ‘완전한 세대 교체’를 이루어낸 칩입니다.

엑시노스 2600 엑시노스 2500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삼성이 엑시노스 2200(S22 탑재) 이후 겪었던 성능 및 발열 논란을 완전히 씻어내고, 갤럭시 S26 시리즈 전 모델에 엑시노스 2600을 탑재할 만큼 강력한 자신감을 회복했다는 것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2나노 공정이 가져올 전력 효율 향상(배터리 시간 증가)과 압도적인 AI 성능을 통해 차원이 다른 모바일 경험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엑시노스 2600이 탑재될 갤럭시 S26의 실제 성능이 더욱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