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의문문 만들기: 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 완벽 가이드


영어로 대화하다 보면, 문장 끝에 “…, isn’t it?”, “…, don’t you?”처럼 짧게 덧붙여 묻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부가의문문(Tag Question)’입니다.

부가의문문은 내가 한 말에 대해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거나, 사실 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매우 유용한 회화 기술입니다.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이 부가의문문 만드는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처음에는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몇 가지 핵심 규칙만 이해하면 누구나 쉽게 부가의문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헷갈리는 ‘부가의문문 만들기’의 모든 규칙을 동사별로 나누어 표와 함께 자세히 설명합니다.

부가의문문 만들기의 대원칙: 긍정-부정, 부정-긍정

부가의문문 만들기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은 ‘앞 문장과 반대로 말하는 것’입니다.

앞의 평서문이 긍정문이면, 부가의문문은 부정문으로 만듭니다.

반대로 앞의 평서문이 부정문이면, 부가의문문은 긍정문으로 만듭니다.

앞 문장 (평서문)부가의문문예시
긍정문 (+)부정문 (-)She is nice, isn’t she?
부정문 (-)긍정문 (+)She isn’t nice, is she?

이 기본 원칙을 항상 기억하는 것이 부가의문문 만들기의 첫걸음입니다.

부가의문문 만들기의 3요소: 동사, 주어, 시제

부가의문문을 만들 때는 앞 문장의 3가지 요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1. 동사의 종류: Be동사, 조동사, 일반동사 중 무엇인가?
  2. 주어: 주어를 어떤 대명사로 받을 것인가? (부가의문문의 주어는 항상 대명사 – I, you, he, she, it, we, they)
  3. 시제: 현재인가? 과거인가?

이 3가지 요소에 따라 부가의문문의 형태가 결정됩니다.

동사별 부가의문문 (1): Be동사

앞 문장의 동사가 Be동사(is, am, are, was, were)인 경우, 부가의문문 만들기는 간단합니다.

규칙: Be동사를 그대로 사용하되, 긍정/부정만 반대로 바꾼다.

  • You are a student, aren’t you?(너는 학생이다, 그렇지 않니?)
  • He wasn’t tired, was he?(그는 피곤하지 않았다, 그랬니?)
앞 문장 (Be동사)부가의문문
It is cold,isn’t it?
They were happy,weren’t they?
She wasn’t late,was she?
We aren’t lost,are we?

Be동사 부가의문문 만들기는 동사 형태를 바꿀 필요 없이 긍정/부정만 뒤집으면 됩니다.

동사별 부가의문문 (2): 조동사

앞 문장에 조동사(will, can, should, must, have 등)가 쓰인 경우의 부가의문문 만들기 방법입니다.

규칙: 조동사를 그대로 사용하되, 긍정/부정만 반대로 바꾼다.

  • She can speak English, can’t she?(그녀는 영어를 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니?)
  • They will come, won’t they?(그들은 올 것이다, 그렇지 않을까?)
    • will의 부정 축약형은 won’t입니다.

완료 시제를 만드는 have/has/had 역시 조동사처럼 취급합니다.

앞 문장 (조동사)부가의문문
You should go,shouldn’t you?
He won’t be angry,will he?
We must finish this,mustn’t we?
She has finished,hasn’t she?

조동사 부가의문문 만들기도 Be동사와 마찬가지로, 쓰인 조동사를 그대로 활용하면 됩니다.

동사별 부가의문문 (3): 일반동사 (Do/Does/Did)

가장 많은 학습자들이 헷갈려 하는 일반동사(like, study, go, eat 등)의 부가의문문 만들기입니다.

Be동사나 조동사와 달리, 일반동사는 부가의문문에서 Do, Does, Did를 사용해야 합니다.

규칙: 시제와 주어에 맞춰 Do, Does, Did를 사용하고, 긍정/부정은 반대로 바꾼다.

  • 현재 시제 (주어 I, You, We, They): do / don’t
  • 현재 시제 (주어 He, She, It): does / doesn’t
  • 과거 시제 (모든 주어): did / didn’t
  • You like coffee, don’t you?(너는 커피를 좋아한다, 그렇지 않니?)
  • He studies hard, doesn’t he?(그는 공부를 열심히 한다, 그렇지 않니?)
  • They didn’t win the game, did they?(그들은 경기에서 이기지 못했다, 그랬니?)
앞 문장 (일반동사)부가의문문
She eats breakfast,doesn’t she?
We live in Seoul,don’t we?
He doesn’t know,does he?
You went there,didn’t you?
They didn’t call,did they?

일반동사 부가의문문 만들기는 ‘Do’ 동사를 빌려와야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꼭 알아야 할 특별한 부가의문문

기본 규칙 외에 예외적으로 적용되는 ‘부가의문문 만들기’ 규칙들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암기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1. 명령문의 부가의문문

“~해라” (긍정 명령) 또는 “~하지 마라” (부정 명령) 형태의 명령문입니다.

규칙: 긍정/부정 상관없이 will you?를 쓴다.

  • Open the window, will you? (창문 좀 열어줘, 그럴래?)
  • Don’t be noisy, will you? (시끄럽게 하지 마, 알겠니?)

2. ‘Let’s’ 청유문의 부가의문문

“~하자”라고 제안하는 ‘Let’s’로 시작하는 문장입니다.

규칙: 항상 shall we?를 쓴다.

  • Let’s go, shall we? (우리 가자, 그럴까?)
  • Let’s start the meeting, shall we? (회의 시작하죠, 그럴까요?)

3. ‘I am …’의 부가의문문

‘I am’은 예외 규칙이 적용됩니다. amn’t I?라는 표현은 현대 영어에서 거의 쓰지 않습니다.

규칙: I am …의 부가의문문은 aren’t I?를 쓴다.

  • I am right, aren’t I? (내가 맞지, 그렇지 않니?)
  • 참고: 부정문 ‘I am not…’은 규칙대로 am I?를 씁니다.
    • I am not late, am I? (나 안 늦었지, 그렇지?)

4. 주어가 This/That/These/Those

주어가 ThisThat이면 it으로, TheseThose이면 they로 받습니다.

  • This is your pen, isn’t it?
  • Those are his shoes, aren’t they?

5. 주어가 Everyone, Something 등

Everyone, Somebody 등 사람을 나타내면 they로 받습니다.

Everything, Something, Nothing 등 사물을 나타내면 it으로 받습니다.

  • Everyone came, didn’t they?
  • Something is wrong, isn’t it?

6. 문장 속 부정어 (Never, Hardly 등)

‘부가의문문 만들기’에서 가장 주의할 점 중 하나입니다. 문장에 not이 없어도 never, rarely, seldom, hardly, little, few 등 ‘거의 ~않는’이라는 의미의 부정어가 포함되면 그 문장은 부정문으로 취급합니다.

따라서 부가의문문은 긍정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 He hardly eats vegetables, does he? (그는 채소를 거의 안 먹어, 그렇지?)
  • She never complains, does she? (그녀는 절대 불평하지 않아, 그렇지?)
  • There is little time, is there? (시간이 거의 없어, 그렇지?)

부가의문문을 익혀야 하는 이유

부가의문문은 단순히 문법 지식을 넘어서, 실제 영어 회화의 ‘윤활유’ 같은 역할을 합니다. 부가의문문을 적절히 사용하면 대화를 더 부드럽게 이어갈 수 있고, 상대방의 반응을 유도하며 공감대를 형성하기 쉽습니다.

규칙이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오늘 정리한 동사별 규칙(Be동사, 조동사, 일반동사)과 특별한 예외 몇 가지만 확실히 익혀두면 됩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