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사 the의 쓰임 완벽 정리: 9가지 핵심 용법 파헤치기


영어를 학습할 때 많은 한국인들이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관사(Article)’입니다. 특히 부정관사 ‘a/an’과 정관사 ‘the’의 구분은 명확한 기준 없이는 사용하기 까다롭습니다.

부정관사 ‘a/an’이 ‘막연한 하나’를 의미한다면, 정관사 ‘the’는 ‘바로 그것’이라고 콕 집어 말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가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는지 알 때 사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복잡해 보이는 정관사 the의 쓰임을 9가지 명확한 기준으로 나누어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이미 언급된 명사의 반복

the의 쓰임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규칙입니다. 대화나 글에서 어떤 명사가 처음 언급될 때는 ‘a/an’을 사용하지만, 그 명사가 다시 반복되어 나올 때는 ‘the’를 사용합니다.

  • I bought a book yesterday. (어제 책을 한 권 샀어.)
  • The book is about history. ( 책은 역사에 관한 것이야.)

첫 문장에서는 막연한 책 한 권(‘a book’)을 말했지만, 두 번째 문장에서는 ‘어제 내가 산 바로 그 책’으로 대상이 특정되었기 때문에 ‘the book’을 사용합니다.

2. 문맥상 명확한 대상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이나 문맥상 무엇을 가리키는지 서로 분명히 알 때 ‘the’를 씁니다. 굳이 이전에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그것’이라고 알 수 있는 경우입니다.

  • Please close the door. (문 좀 닫아줘.)
    • (방 안에 있는 사람들이 어떤 문을 닫아야 하는지 알고 있는 상황)
  • Can you pass me the salt? (소금 좀 건네줄래?)
    • (식탁 위에 있는 유일한 소금통을 가리키는 상황)

이러한 the의 쓰임은 일상 대화에서 매우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3. 세상에 유일한 것

태양, 달, 지구, 하늘, 세상 등 일반적으로 ‘유일하다’고 인식되는 대상 앞에는 ‘the’를 붙입니다.

  • the sun (태양)
  • the moon (달)
  • the earth (지구)
  • the sky (하늘)
  • the world (세계)
  • the universe (우주)

예: The sun rises in the east.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4. 서수, 최상급, 특정 형용사 앞

순서를 나타내는 서수(first, second, third…)나 정도가 가장 심함을 나타내는 최상급(best, tallest, most beautiful…) 앞에는 ‘the’를 사용합니다.

또한, ‘유일한(only)’, ‘바로 그(very)’, ‘같은(same)’과 같은 특정 형용사 앞에도 ‘the’가 붙습니다.

  • He was the first man to walk on the moon. (그는 달을 걸은 첫 번째 사람이었다.)
  • This is the best restaurant in town. (이곳은 이 도시에서 최고의 식당이다.)
  • She is the only person I trust. (그녀는 내가 믿는 유일한 사람이다.)
  • You are the very man I was looking for. (당신이 내가 찾던 바로 그 사람입니다.)

이 경우 the의 쓰임은 대상을 명확하게 한정하고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분예시의미
서수the first, the third첫 번째, 세 번째
최상급the tallest, the most expensive가장 큰, 가장 비싼
특정 형용사the only, the same, the very유일한, 같은, 바로 그

5. 대표단수 (종족 전체)

‘the + 단수 보통명사’ 형태를 사용하여 그 명사가 속한 종족이나 집단 전체를 대표하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the의 쓰임을 ‘대표단수’라고 부릅니다.

  • The whale is a mammal. (고래라는 종족은 포유류이다.)
  • The rose is a beautiful flower. (장미라는 꽃은 아름답다.)

참고: ‘A whale is a mammal.’ 또는 ‘Whales are mammals.’라고 표현해도 종족 전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the + 단수명사’ 형태는 좀 더 격식 있거나 과학적인 문맥에서 the의 쓰임이 두드러집니다.

6. 기계, 발명품, 악기

전화기, 컴퓨터, 라디오 등 기계나 발명품의 이름을 일반적인 개념으로 말할 때 ‘the’를 사용합니다.

  • Alexander Graham Bell invented the telephone. (벨은 전화를 발명했다.)
  • The computer has changed our lives. (컴퓨터는 우리 삶을 변화시켰다.)

또한, ‘play(연주하다)’ 동사와 함께 악기 이름이 나올 때는 거의 항상 ‘the’를 붙입니다.

  • She plays the piano very well. (그녀는 피아노를 매우 잘 연주한다.)
  • I am learning to play the guitar. (나는 기타 연주를 배우고 있다.)

주의: 반면 운동 경기 이름 앞에는 ‘the’를 쓰지 않습니다. (예: play soccer, play baseball) 악기명 앞에서의 the의 쓰임과는 명확히 구분됩니다.

7. 시간이나 수량의 단위

시간이나 수량을 나타내는 단위 앞에 ‘by’ 또는 ‘per’의 의미로 ‘th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He is paid by the hour. (그는 시간 단위로 급여를 받는다.)
  • Eggs are sold by the dozen. (달걀은 12개 단위(다스)로 판매된다.)

또한 ‘in the morning’, ‘in the afternoon’, ‘in the evening’처럼 하루의 특정 시간대를 나타낼 때도 관용적으로 the의 쓰임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8. 특정 고유명사 앞

대부분의 고유명사(사람 이름, 도시, 국가, 대륙) 앞에는 ‘the’를 쓰지 않습니다. (예: Seoul, Korea, Tom)

하지만 일부 특정 고유명사 앞에는 ‘the’를 반드시 붙여야 하며, 이러한 the의 쓰임은 예외적으로 암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the’를 사용하는 고유명사예시
복수형 국가, 지역the United States (미국), the Netherlands (네덜란드), the Philippines (필리핀)
강, 바다, 대양, 사막the Han River (한강), the Pacific Ocean (태평양), the Sahara Desert (사하라 사막)
산맥 (단일 산X)the Alps (알프스 산맥), the Rocky Mountains (로키 산맥) (cf. Mt. Halla)
특정 건물, 기관the White House (백악관), the British Museum (대영 박물관), the UN (국제 연합)
신문, 잡지 (일부)the New York Times, the Economist

이처럼 고유명사에서의 the의 쓰임은 규칙성이 다소 떨어지므로, 영어를 접할 때마다 눈여겨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9. ‘the + 형용사/분사’ (~한 사람들)

‘the’ 뒤에 형용사나 분사(현재분사/과거분사)가 오면, ‘~한 사람들’이라는 복수 보통명사처럼 쓰입니다.

  • the rich (부유한 사람들)
  • the poor (가난한 사람들)
  • the elderly (노인들)
  • the unemployed (실업자들)
  • the injured (부상자들)

예: We should help the poor. (우리는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

이 문장에서 ‘the poor’는 ‘poor people’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문법적으로 복수 취급합니다.

‘the’ 사용의 핵심 요약

지금까지 정관사 the의 쓰임에 대한 9가지 주요 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the’는 단순히 ‘그’라고 해석되는 것을 넘어, 문장 안에서 명사의 의미를 명확하게 한정하고 특정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물론 이 외에도 관용적인 the의 쓰임이 존재하며, 때로는 ‘the’를 쓰지 않는 경우(무관사)를 구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 식사, 운동, 학과목 이름 앞)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