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 헷갈리지 않는 명확한 구분법
Contents Table
참조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네이버 사전)
함께읽으면 좋은 글
영어를 공부할 때 많은 분들이 To부정사의 벽에 부딪힙니다. 명사처럼, 형용사처럼, 그리고 부사처럼 쓰이는 To부정사의 다재다능함은 때로는 학습자에게 혼란을 주기도 합니다. 특히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은 문맥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어 독해의 발목을 잡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기 위해서”, “~해서”, “~하다니”, “~하기에” 등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데, 과연 문장 속에서 어떤 의미를 선택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이 가진 여러 의미를 어떤 문법적, 문맥적 근거로 구분할 수 있는지 명확하게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특히 문법 시험에서 요구하는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을 어떻게 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해낼 수 있는지 그 비결을 상세히 다룹니다.
To부정사 부사적 용법의 다양한 의미
먼저 To부정사가 부사처럼 쓰일 때 가지는 대표적인 의미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의미들이 혼재되어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을 어렵게 만듭니다.
- 목적: ~하기 위해서
- 이유 (감정의 원인): ~해서, ~하니
- 이유 (판단의 근거): ~하다니
- 결과: (결국) ~해서 …하다
- 형용사 수식: ~하기에
문제는 이 모든 해석이 to + 동사원형이라는 동일한 형태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이제부터 이들을 구분하는 논리적인 기준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목적: 가장 흔한 해석 (~하기 위해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입니다. 문장의 주된 행동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졌는지 설명합니다.
- He studied hard to pass the exam. (그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했다.)
구분하는 방법:
가장 확실한 방법은 To부정사 앞에 in order나 so as를 붙여보는 것입니다. in order to pass the exam처럼 말이 자연스럽게 이어진다면 ‘목적’으로 해석해도 좋습니다.
또한, 문장의 맨 앞으로 To부정사 구를 이동시켰을 때 의미가 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To pass the exam, he studied hard.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 그는 열심히 공부했다.)
2. 이유 (감정의 원인): (~해서)
주로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뒤에 쓰여, 왜 그런 감정을 느끼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설명합니다.
- I am glad to see you. (나는 당신을 보게 되어서 기쁩니다.)
- She was surprised to hear the news. (그녀는 그 소식을 듣고 놀랐다.)
구분하는 방법: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 중 ‘이유’는 구분이 비교적 쉽습니다. To부정사 바로 앞에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 감정의 원인을 동반하는 주요 형용사 |
| happy (행복한) |
| glad (기쁜) |
| sad (슬픈) |
| sorry (유감스러운) |
| surprised (놀란) |
| disappointed (실망한) |
| pleased (기쁜) |
3. 이유 (판단의 근거): (~하다니)
‘이유’ 용법의 또 다른 형태입니다. 앞선 내용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을 내리고, To부정사가 그 판단의 근거를 제시합니다.
- He must be crazy to say so. (그렇게 말하는 것을 보니 그는 미쳤음에 틀림없다.)
- It was foolish of you to trust him. (그를 믿다니 너는 어리석었다.)
구분하는 방법:
To부정사 앞에 ‘판단’을 나타내는 표현이 나옵니다. 주로 must be ~ (틀림없다), cannot be ~ (일 리가 없다) 같은 추측성 발언이나 kind (친절한), foolish (어리석은), rude (무례한) 등 사람의 성질을 판단하는 형용사가 사용됩니다.
이 경우의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은 “~하다니”라고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4. 결과: (~해서 …하다)
이 용법은 ‘목적’과 혼동하기 쉬우나, 해석의 방향이 완전히 다릅니다. ‘목적’이 미래의 의도를 나타낸다면, ‘결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한 일을 순차적으로 설명합니다.
- He grew up to be a doctor. (그는 자라서 의사가 되었다.)
- She lived to be 90 years old. (그녀는 살아서 90세가 되었다.)
구분하는 방법:
‘목적’을 구분하던 in order to를 넣어보면 ‘결과’ 용법은 해석이 매우 어색해집니다.
- (X) He grew up in order to be a doctor. (그는 의사가 되기 ‘위해서’ 자랐다.)
이처럼 해석이 어색할 경우, ‘결과’ 용법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은 앞에서부터 뒤로 순차적으로 읽어 내려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결과’ 용법은 특정 동사들과 자주 쓰입니다.
| ‘결과’ 용법과 자주 쓰이는 표현 | 의미 |
| grow up to V | 자라서 V하다 |
| live to V | 살아서 V하다 |
| wake up to V | 일어나 보니 V하다 |
| only to V | (노력했으나) 결국 V할 뿐이다 |
| never to V | (결국) 다시는 V하지 못하다 |
only to는 “열심히 노력했지만 결국 실패했다”처럼 예상 밖의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때 자주 쓰이며,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에서 ‘결과’를 나타내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 He tried hard only to fail. (그는 열심히 노력했지만 실패했을 뿐이다.)
5. 형용사 수식: (~하기에)
To부정사가 부사처럼 쓰여 바로 앞의 형용사를 꾸며주는 경우입니다. “어떤 점에서” 그러한지를 설명합니다.
- This water is good to drink. (이 물은 마시기에 좋다.)
- The problem is difficult to solve. (그 문제는 풀기에 어렵다.)
구분하는 방법:
‘감정의 원인’과 마찬가지로 형용사 뒤에 To부정사가 온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감정’이 아닌 easy, hard, difficult, possible, dangerous 등 ‘난이도’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가 온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은 “~하기에” 또는 “~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면 자연스럽습니다.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 실전 구분
학교 시험이나 독해 지문에서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 문제가 나왔을 때, 빠르고 정확하게 구분하는 실전 팁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핵심은 “To부정사 앞뒤에 무엇이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1순위: To부정사 앞을 확인하라
- 감정 형용사 (happy, sad)가 있는가? -> 이유 (감정의 원인)
- 판단 형용사/동사 (kind, must be)가 있는가? -> 이유 (판단의 근거)
- 난이도/상태 형용사 (easy, difficult)가 있는가? -> 형용사 수식
2순위: 1순위가 아니라면 ‘목적’과 ‘결과’를 의심하라
이 두 가지를 구분하는 것이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의 핵심입니다.
| 구분 기준 | 목적 (~하기 위해서) | 결과 (~해서 …하다) |
| in order to 대체 | 가능 (O) | 불가능 (X) |
| 해석 방향 | 뒤 -> 앞 (행동의 이유 설명) | 앞 -> 뒤 (시간 순서대로 발생) |
| 자주 쓰는 동사 | (특별히 없음) | grow up, live, wake up, only to |
예시 문장으로 연습하기
- He stopped to smoke.
- ‘목적’일까? “그는 담배를 피우기 위해서 멈췄다.” (O)
- 참고: stop smoking(담배 피우는 것을 멈추다)과 구분이 필요합니다.
- I woke up to find myself famous.
- ‘목적’일까? “나는 유명해지기 위해서 일어났다.” (X)
- 앞에 wake up 동사가 있습니다. -> 결과 (“나는 일어나 보니 내가 유명해진 것을 알게 되었다.”)
- You must be diligent to succeed.
- 앞에 ‘판단'(must be diligent)이 있습니다. -> 이유 (판단의 근거) (“성공하다니 너는 부지런함에 틀림없다.”)
- 문맥에 따라 ‘목적’으로도 해석 가능합니다. (“성공하기 위해서 너는 부지런해야 한다.”) 이처럼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은 문맥에 따라 중의적일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른 유연한 해석의 중요성
지금까지 여러 문법적 장치를 통해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을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명확한 규칙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문맥’입니다.
영어는 수학 공식처럼 1:1로 대응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To부정사는 ‘목적’으로도, ‘조건’으로도 (만약 ~한다면) 해석될 여지를 남겨둡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배운 이 구분법들을 ‘가능성’으로 열어두고, 글의 전체적인 흐름에 가장 잘 맞는 해석을 유연하게 선택하는 능력입니다.
정확한 To부정사 부사적 용법 해석은 단순히 문법 문제를 맞히는 것을 넘어, 글쓴이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더 깊이 있는 독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열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