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ever 복합관계부사 : “However”는 ‘그러나’가 아닐 수도 있다.
Contents Table
참조 (네이버 백과사전 / 사전) : 복합 관계사
함께읽으면 좋은 글
우리가 영어를 배우면서 가장 먼저 접하는 접속부사 중 하나는 단연 ‘However’일 것입니다. 너무나도 익숙하게 “그러나”, “하지만”이라는 의미로 사용하며, 문장의 흐름을 역접시키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합니다. “He is smart. However, he is lazy.” 와 같은 문장은 누구나 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이런 문장을 마주친다면 어떨까요?
However talented he was, he failed the audition.
여기서도 습관처럼 ‘However’를 ‘그러나’로 해석하면, “그러나 재능있는 그였다, 그는 오디션에 떨어졌다”는 매우 어색하고 비문법적인 문장이 탄생합니다. 바로 이 지점이 많은 영어 학습자들이 독해에서 함정에 빠지는 구간입니다. ‘However’는 우리가 아는 ‘그러나’라는 뜻 외에, 전혀 다른 문법적 역할과 의미를 가진 얼굴을 숨기고 있기 때문입니다.라도’라는 뜻의 However 복합관계부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결정적인 차이를 인지하지 못하면 독해에서 큰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가 습관적으로 ‘그러나’라고 해석하는 however가 언제 다른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그 둘을 어떻게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PART 1: 우리가 익히 아는 ‘However’ – 접속부사 (Conjunctive Adverb)
본격적으로 두 번째 얼굴을 탐구하기 전에,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첫 번째 얼굴, 즉 접속부사 ‘However’를 잠시 복습하며 그 특징을 명확히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비교해야 할 기준점이기 때문입니다.
정의와 기능: 문장과 문장을 잇는 다리
접속부사 ‘However’는 논리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문장(절)을 연결하여, 앞선 내용에 대한 대조, 반전, 또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의미상으로는 ‘but’, ‘yet’과 매우 유사하지만, 문어체나 격식적인 글에서 훨씬 선호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기능: 문장과 문장 사이의 의미적 연결고리 역할.
- 특징: ‘However’ 자체가 문장 구조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즉, ‘However’를 제거해도 양쪽의 문장은 각각 문법적으로 완전한 형태로 남습니다.
The company invested a lot of money in the project. However, it did not succeed. (회사는 그 프로젝트에 많은 돈을 투자했다. 그러나, 그것은 성공하지 못했다.)
위 예문에서 “The company invested…”와 “it did not succeed”는 각각 독립된 문장입니다. ‘However’는 이 둘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보여주는 신호등 역할을 할 뿐입니다.
결정적 단서: 쉼표(,)의 사용
접속부사 ‘However’를 구별하는 가장 확실하고 시각적인 단서는 바로 쉼표(,)입니다. 접속부사로 쓰일 때 ‘However’는 거의 항상 쉼표와 함께 등장합니다.
- 문장 맨 앞에 올 때: However, + 주어 + 동사 …The traffic was heavy. However, we arrived on time. (교통체증이 심했다. 그러나, 우리는 정시에 도착했다.)
- 문장 중간에 삽입될 때: 주어, however, 동사 … 또는 독립절; however, 독립절We, however, decided to take a different path. (우리는, 하지만, 다른 길을 가기로 결정했다.)The report was due today; however, I got an extension. (보고서 마감일이 오늘이었다. 하지만, 나는 연장을 받았다.)
- 문장 맨 뒤에 올 때: 주어 + 동사 …, however.He promised to help me. He didn’t show up, however. (그는 나를 돕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PART 2: 당신이 놓치고 있던 ‘However 복합관계부사’ (Compound Relative Adverb)
이제 오늘의 주인공인 복합관계부사 ‘However’를 만날 차례입니다. 이 용법을 이해하는 순간, 왜 그동안 일부 ‘However’ 문장이 해석하기 까다로웠는지 명확히 깨닫게 될 것입니다.
정의와 기능: ‘아무리 ~하더라도’의 의미를 만드는 부사절 접속사
복합관계부사 ‘However’는 ‘No matter how’와 100% 동일한 의미를 가집니다. 이것은 ‘어떠한 정도로 ~하더라도’라는 양보(concession)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역할을 합니다.
- 기능: 주절의 내용이 어떤 조건이나 상황에도 불구하고 변함없이 사실임을 강조합니다.
- 특징: ‘However’는 자신이 이끄는 절(clause)의 일부입니다. 따라서 ‘However’를 마음대로 제거할 수 없으며, 제거하면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이 됩니다.
However tired she felt, she continued to work. (그녀가 아무리 피곤함을 느꼈을지라도, 그녀는 계속해서 일했다.)
위 예문에서 ‘However tired she felt’는 ‘she continued to work’라는 주절을 수식하는 부사절입니다. ‘However’는 ‘tired’라는 형용사와 결합하여 ‘아무리 피곤하더라도’라는 의미 덩어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결정적 단서: ‘However + 형용사/부사’ 구조
복합관계부사 ‘However’를 접속부사와 구분하는 가장 명확한 방법은 ‘However’ 바로 뒤에 오는 단어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복합관계부사로 사용될 경우, 쉼표 없이 바로 형용사(adjective)나 부사(adverb)가 따라옵니다.
- 기본 구조: However +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 주어 + 동사.
- 형용사를 수식하는 경우:However difficult the exam is, you have to do your best. (그 시험이 아무리 어려울지라도, 너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 분석: ‘However’가 ‘difficult’라는 형용사와 결합
-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However fast you run, you can’t beat a car. (네가 아무리 빨리 달린다 해도, 너는 차를 이길 수 없다.) 분석: ‘However’가 ‘fast’라는 부사와 결합
- ‘방법’을 나타내는 경우: 때로는 ‘어떤 방식으로 ~하든지’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You can design your room however you like. (네가 원하는 어떤 방식으로든 너의 방을 디자인할 수 있다.) 이 경우, ‘however’ 뒤에 형/부가 오지 않지만, 문장의 일부로서 종속절을 이끌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PART 3: 두 ‘However’의 비교 분석
지금까지 살펴본 두 가지 용법의 차이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동일한 상황을 두 가지 ‘However’를 사용해 표현해 보겠습니다. 이 비교를 통해 구조와 의미의 차이가 얼마나 극명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황: “그 영화는 길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것을 즐겼다.”
- 접속부사 사용:The movie was long. However, I enjoyed it. (그 영화는 길었다. 그러나, 나는 그것을 즐겼다.)
- 분석: “The movie was long.”과 “I enjoyed it.” 이라는 두 개의 독립된 문장이 존재합니다. ‘However’는 이 둘을 연결하며, 뒤에 쉼표가 있습니다.
- 복합관계부사 사용:However long the movie was, I enjoyed it. (아무리 그 영화가 길었을지라도, 나는 그것을 즐겼다.)
- 분석: ‘However’가 ‘long’이라는 형용사와 바로 결합하여 하나의 부사절(‘However long the movie was’)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However’ 뒤에는 쉼표가 없습니다.
이처럼 동일한 의미를 전달하더라도 문장의 구조와 뉘앙스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복합관계부사를 사용한 문장이 좀 더 유기적이고 강조의 느낌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항목 |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 However 복합관계부사 (‘아무리 ~하더라도’) |
핵심 의미 | 대조, 반전 | 양보, 정도의 무관함 |
문법적 역할 | 독립된 절과 절을 연결하는 부사 | 종속절(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문장 구조 | 독립적 (제거해도 문법적으로 완전함) | 종속적 (자신이 이끄는 절의 일부) |
구분하는 법 | However, + S + V | However + 형/부 + S + V |
쉼표 | 반드시 사용 | 부사절이 문두에 올 때만 절 끝에 사용 |
예문 | The book is thick. However, it’s easy to read. | However thick the book is, it’s easy to read. |
‘However’ 앞에서 1초만 멈추는 습관
‘However’라는 단어를 마주했을 때, 우리가 기계적으로 ‘그러나’라고 반응하는 것은 오랜 학습의 결과입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그 반응에 제동을 걸어야 합니다. 독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However’를 보면 바로 해석하려 하지 말고, 그 바로 뒤에 어떤 단어가 오는지 확인하는 1초의 멈춤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 뒤에 쉼표(,)가 보이는가? -> ‘그러나’로 해석하고 문장의 전환을 예측하세요.
- 뒤에 형용사나 부사가 보이는가? -> ‘아무리 ~하더라도’로 해석하고, 주절의 내용이 변치 않음을 예측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