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 till / until 구문 : 하고 나서야 비로소~하다.
Contents Table
“Not ~ till (until)” 구문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영어 작문 및 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구문은 두 가지 사건이나 상황 간의 시간적 관계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되며, 한 사건이 다른 사건 이후에 발생함을 강조합니다. 이 글에서는 “not ~ till (until)” 구문의 구조, 다양한 활용법, 그리고 도치 구조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Health is not valued till sickness comes.
병에 걸리기 전까지는 건강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른다.
1. 기본 구조와 의미
기본 구문: “not A till (until) B”
이 구문은 “B하고 나서야 비로소 A하다”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즉, A라는 사건은 B라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에야 일어나게 됩니다. 여기서 B는 기준이 되는 사건이며, A는 그 사건 이후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예시 문장:
- I did not know the fact, till (until)
이 문장은 “다음 날 아침이 되어서야 비로소 그 사실을 알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여기서 ‘till’과 ‘until’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2. 도치 구조: “Not ~ till” 구문
“Not ~ till” 구문을 문두로 도치시킬 때는 반드시 조동사(do, does, did) + 주어 + 본동사 형태로 문장이 바뀝니다. 이러한 도치 구조는 영어에서 비교적 고급 표현 방식으로 여겨지며, 문장에 강조를 부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도치된 문장의 구조:
- Not till/until B, 조동사 + 주어 + 본동사
예시 문장:
- Not till the next morning did I know the fact.
(다음 날 아침이 되어서야 비로소 그 사실을 알았다.)
이 문장은 위의 기본 구조를 도치하여 “다음 날 아침까지 그 사실을 몰랐다”는 의미를 더욱 강조하고 있습니다.
3. 유사한 표현: “It was not till ~ that …” 구조
또 다른 형태로, “It was not till ~ that …” 구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특정 시점까지 어떤 일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강조하며, 문장 구조에 조금 더 공식적인 느낌을 줍니다.
예시 문장:
- It was not till the next morning that I knew the fact.
(다음 날 아침이 되어서야 비로소 그 사실을 알았다.)
이 구조는 도치된 문장과 마찬가지로 강조를 위해 사용되며, 특히 서면 영어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4. “Only after” 구문
“Not till/until” 구문을 표현하는 또 다른 방식은 “Only after” 구문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구문은 어떤 사건이 발생한 이후에야 다른 사건이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또 다른 강조 구조입니다.
예시 문장:
- Only after the next morning did I know the fact.
(다음 날 아침이 되고 나서야 비로소 그 사실을 알았다.)
“Only after”를 사용한 문장은 “Not till/until” 문장과 마찬가지로 조동사와 도치 구조를 따라갑니다.
5. 사용 시 유의 사항
5.1. “Till”과 “Until”의 차이
“Till”과 “Until”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Till”은 보다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고, “Until”은 공식적인 글이나 말하기에서 선호됩니다. 두 표현 모두 시간적 한계를 나타내며, 특정 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합니다.
5.2. 도치 구조에서의 주의점
도치 구조로 문장을 만들 때는 반드시 조동사가 등장해야 하며, 이는 시제에 따라 “do”, “does”, “did” 등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과거형 문장에서는 “did”가 사용됩니다.
5.3. 다른 유사 표현들
- “Not before”: 특정 시점 이전에 어떤 일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 예시: I did not know the fact before the next morning. (다음 날 아침 이전에는 그 사실을 몰랐다.)
- “Until then”: 특정 시점까지의 기간을 나타냅니다.
- 예시: Until then, I had no idea about it. (그때까지는 전혀 몰랐다.)
6. “Not ~ till/until” 구문의 다양한 표현 정리
구문 형식 | 예문 (영어) | 해석 (한국어) | 특징 |
---|---|---|---|
not A till/until B | I did not know the fact, till the next morning. | 나는 다음 날 아침까지 그 사실을 알지 못했다. | 기본 구문, B 후에 A가 일어남 |
도치된 구문 | Not till the next morning did I know the fact. | 다음 날 아침이 되어서야 비로소 그 사실을 알았다. | 도치 구조, 조동사 + 주어 + 본동사 형태 |
It was not till ~ that … | It was not till the next morning that I knew the fact. | 다음 날 아침이 되어서야 비로소 그 사실을 알았다. | “It was not till ~” 형식, 강조 효과 |
Only after ~ did … | Only after the next morning did I know the fact. | 다음 날 아침이 되고 나서야 비로소 그 사실을 알았다. | “Only after” 구문, 도치와 함께 사용됨 |
Not before ~ | I did not know the fact before the next morning. | 나는 다음 날 아침 이전에는 그 사실을 몰랐다. | “Not before” 구문, B 이전에는 A가 일어나지 않음 |
Until then | Until then, I had no idea about it. | 그때까지는 전혀 몰랐다. | 특정 시점까지의 기간을 나타냄 |
7. 마무리
“Not ~ till/until” 구문은 영어에서 시간적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낼 때 매우 유용한 표현입니다. 이를 활용하면 두 사건 사이의 순서를 명확히 하고, 특정 사건이 어느 시점 이후에 일어났음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치 구조와 다양한 유사 표현을 함께 사용하면 더욱 풍부하고 정확한 영어 문장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한 예시와 표를 참고하여, 영어에서 시간적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을 더욱 확장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