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do I 와 Neither do I 의미 – do 의 역할

영어 문법을 공부할 때, 특히 회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들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So do I”“Neither do I”는 우리가 일상 대화에서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거나 부정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 두 표현의 공통점은 조동사 ‘do’가 사용된다는 점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장 구조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고, 특히 ‘do’가 조동사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겠습니다.


1. “So do I”와 “Neither do I”의 기본 의미

먼저 두 표현의 기본 의미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So do I”는 상대방이 한 긍정적인 진술에 대해 “나도 그렇다”고 동의할 때 사용합니다.
  • “Neither do I”는 상대방이 한 부정적인 진술에 대해 “나도 그렇지 않다”고 동의할 때 사용합니다.

이 두 표현은 모두 ‘동의’를 표현하지만, 긍정과 부정의 차이로 인해 사용 맥락이 다릅니다. 예시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1. “So do I”의 예시

A: I like pizza. (나는 피자를 좋아해.)
B: So do I. (나도 그래.)

이 경우 A가 피자를 좋아한다고 말했고, B는 이에 동의하면서 자신도 피자를 좋아한다는 뜻으로 “So do I”를 사용했습니다.

1.2. “Neither do I”의 예시

A: I don’t like broccoli. (나는 브로콜리를 좋아하지 않아.)
B: Neither do I. (나도 그래.)

이번에는 A가 브로콜리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고, B는 이에 동의하면서 자신도 브로콜리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Neither do I”를 사용했습니다.

2. ‘do’의 역할: 조동사로서의 기능

이제 두 표현에서 사용된 ‘do’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영어에서 ‘do’는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갖고 있지만, 여기서는 조동사로서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2.1. 조동사란 무엇인가?

조동사(助動詞, auxiliary verb)는 주 동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동사입니다. 조동사는 문장에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하거나 문장의 형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조동사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질문을 만들 때: “Do you like pizza?”
  • 부정문을 만들 때: “I do not like broccoli.”
  • 강조를 할 때: “I do like pizza!”

2.2. ‘do’가 조동사로 사용되는 이유

“Do”는 주로 일반 동사 앞에 위치하여 조동사 역할을 합니다. “So do I”와 “Neither do I”에서 ‘do’가 사용된 이유는 바로 일반 동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한 말을 그대로 반복하는 대신, ‘do’를 사용하여 좀 더 간결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긍정문에서의 ‘do’ 사용 (So do I)

상대방의 긍정적인 진술에 동의할 때는 ‘do’를 사용하여 그 의미를 전달합니다. ‘do’는 여기서 주 동사를 대신하며, 문장의 시제나 의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
A: I like pizza. (나는 피자를 좋아해.)
B: So do I. (나도 그래.)

이 예문에서 ‘do’는 ‘like’라는 동사를 대신하고 있으며, B가 피자를 좋아한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이 때 ‘do’는 단순히 ‘like’라는 동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사용된 조동사입니다.

부정문에서의 ‘do’ 사용 (Neither do I)

부정적인 진술에 동의할 때도 ‘do’는 같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do’는 주 동사를 대신하여 부정적인 의미를 포함한 문장을 간결하게 만들어 줍니다.

예시:
A: I don’t like broccoli. (나는 브로콜리를 좋아하지 않아.)
B: Neither do I. (나도 그래.)

여기서 ‘do’는 ‘like’라는 동사를 대신하며, B 역시 브로콜리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이 때도 ‘do’는 주 동사 ‘like’를 반복하지 않고 간결한 표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2.3. 왜 ‘do’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가?

‘do’를 사용하지 않고도 동의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그럴 수 없습니다. 영어에서 동사를 생략하면 문장의 의미가 불완전해지기 때문입니다. ‘do’는 주 동사를 대체하며 문장을 완전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므로 반드시 필요합니다. 만약 ‘do’를 생략하면 문장이 부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3. 시제와 ‘do’의 사용

‘do’는 현재 시제뿐만 아니라 과거 시제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So do I’와 ‘Neither do I’는 현재 시제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시제에 따라 조동사 ‘do’도 변화합니다.

3.1. 현재 시제에서의 사용

현재 시제에서는 ‘do’가 그대로 사용됩니다.

예시:
A: I like movies. (나는 영화를 좋아해.)
B: So do I. (나도 그래.)

이 문장에서 ‘do’는 현재 시제인 ‘like’를 대신합니다.

3.2. 과거 시제에서의 사용

과거 시제에서는 ‘do’가 ‘did’로 변형됩니다.

예시:
A: I watched that movie yesterday. (나는 어제 그 영화를 봤어.)
B: So did I. (나도 봤어.)

여기서 ‘did’는 과거 시제를 나타내며, ‘watched’라는 동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4. 다른 조동사와의 조합

영어에는 ‘do’ 외에도 다양한 조동사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will’, ‘can’, ‘must’ 등이 있습니다. 이 조동사들도 ‘do’와 마찬가지로 주 동사를 대신하여 간결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So do I’와 ‘Neither do I’의 구조와 비슷하게, 다른 조동사들도 동의나 부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4.1. “So will I”와 “Neither will I”

미래 시제를 표현할 때는 ‘will’이 사용됩니다.

예시:
A: I will go to the party. (나는 파티에 갈 거야.)
B: So will I. (나도 갈 거야.)

부정문에서는 ‘neither’와 함께 사용됩니다.

예시:
A: I won’t go to the party. (나는 파티에 가지 않을 거야.)
B: Neither will I. (나도 가지 않을 거야.)

4.2. “So can I”와 “Neither can I”

능력을 나타낼 때는 ‘can’이 사용됩니다.

예시:
A: I can play the guitar. (나는 기타를 칠 수 있어.)
B: So can I. (나도 칠 수 있어.)

부정문에서는 ‘neither’와 함께 사용됩니다.

예시:
A: I can’t play the piano. (나는 피아노를 칠 수 없어.)
B: Neither can I. (나도 칠 수 없어.)

5. “So do I”와 “Neither do I”의 변형된 표현

대화에서 사용되는 “So do I”와 “Neither do I”는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주어와 동사의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5.1. 주어의 변화

주어가 바뀌면 문장 구조도 약간 달라집니다.

예시:
A: She likes pizza. (그녀는 피자를 좋아해.)
B: So does he. (그도 그래.)

5.2. 동사의 변화

동사가 비동사(be)일 경우 ‘do’ 대신 ‘be’가 사용됩니다.

예시:
A: I am happy. (나는 행복해.)
B: So am I. (나도 그래.)

부정문에서도 마찬가지로 ‘be’ 동사가 사용됩니다.

예시:
A: I am not tired. (나는 피곤하지 않아.)
B: Neither am I. (나도 피곤하지 않아.)

마무리하며

So do I“와 “Neither do I“는 일상 영어 대화에서 동의나 부정을 표현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표현들입니다. 이 두 문장 구조의 핵심은 바로 조동사 ‘do’의 사용에 있습니다. ‘do’는 주 동사를 대신하여 반복을 피하고 문장을 간결하게 만들어 줍니다. 또한, 시제에 따라 ‘do’의 형태가 변화하며, 다양한 조동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