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that 어떻게 해석 되는가 : So ~ that 구문 완벽 정복


so ~ that 구문의 기본 이해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다양한 접속사를 만납니다. 그중에서도 so ~ that 구문은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표현해주는 매우 유용한 문법입니다.

하지만 많은 학습자가 이 구문의 정확한 뉘앙스와 변형 형태를 어려워합니다. 특히 so that이 붙어있는 경우와 떨어져 있는 경우를 혼동하기도 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so ~ that 구문의 핵심 의미부터 too … to로의 변환, 그리고 such … that과의 차이점까지 자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원인과 결과의 논리: so ~ that

so ~ that 구문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매우 ~해서 …하다”입니다. 여기서 so는 ‘매우, 아주’라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이며, that 이하의 절(주어+동사)은 그로 인한 ‘결과’를 나타냅니다.

  • 구조: 주어 + 동사 +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동사
  • 논리: [원인]이 너무 ~해서, [결과]가 발생하다.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She studied so hard that she passed the exam.
    • (그녀는 매우 열심히 공부해서 시험에 합격했다.)
    • 원인: 매우 열심히 공부함 (so hard)
    • 결과: 시험에 합격함 (that she passed the exam)
  • The weather was so cold that we decided to stay indoors.
    • (날씨가 매우워서 우리는 실내에 머물기로 결정했다.)
    • 원인: 날씨가 매우 추움 (so cold)
    • 결과: 실내에 머물기로 결정함 (that we decided to stay indoors)

so 뒤에는 이처럼 형용사(cold)나 부사(hard)가 올 수 있습니다. 문장의 핵심 논리는 ‘정도’가 강한 원인과 그에 따르는 자연스러운 결과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혼동하기 쉬운 so that (목적)

so ~ that 구문을 다룰 때, 키워드이기도 한 so that (붙어있는 형태)과의 차이를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so … that이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반면, so that은 ‘목적’을 나타내며, “~하기 위해서”라고 해석됩니다.

구분형태의미예시
원인과 결과so + 형용사/부사 + that매우 ~해서 …하다He ran so fast that he won the race.
목적so that~하기 위해서He ran fast so that he could win the race.

이 글의 주제인 so ~ that 구문은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 구문과는 명확히 구별해야 합니다.


부정문의 변환: so ~ that ~ can’t

이제 so ~ that 구문이 부정적인 결과, 즉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 The box is so heavy that I can’t lift it.
    • (그 상자는 너무 무거워서 나는 그것을 들 수 없다.)

이 문장은 so ~ that 구문에 can’t (또는 cannot, 과거 시제일 경우 couldn’t)가 결합하여 ‘불가능’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이 구조는 영어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핵심 문장입니다. 이 so that can’t 형태를 잘 기억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핵심 변환: too ~ to 구문

위에서 본 so ~ that ~ can’t 구문은 too … to 구문으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두 표현은 사실상 같은 의미를 전달합니다.

  • so … that … can’t = too … to
  • 의미: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변환 방법:

  1. so를 too로 바꿉니다.
  2. that + 주어 + can’t 부분을 to + 동사원형 (to부정사)로 바꿉니다.

예시:

  • The box is so heavy that I can’t lift it.
    • -> The box is too heavy to lift.
    • (그 상자는 들기에 너무 무겁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too … to 구문 자체에 이미 부정의 의미(“너무 ~해서 …할 수 없다”)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중요]

too … to 구문으로 바꿀 때는 so … that 구문에 있던 부정어 (not, can’t)가 사라져야 합니다. too라는 단어 자체가 부정적인 ‘과함’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잘못된 예: The box is too heavy not to lift. (X)

올바른 예: The box is too heavy to lift. (O)

이 so that에서 too to로의 변환은 문장을 더 간결하게 만들어 주며 원어민들이 일상에서 매우 자주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too ~ to 구문의 의미상 주어: for + 목적격

too … to 구문을 사용할 때, to부정사의 행동을 하는 주체를 명확히 밝혀야 할 때가 있습니다.

  • He is too young to vote.
    • (그는 투표하기에 너무 어리다.)
    • 이 문장에서는 ‘어린 것’도 ‘그(He)’이고, ‘투표하는 것’도 ‘그(He)’입니다. 주어가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주어 표시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 문장을 보겠습니다.

  • The coffee is too hot to drink.
    • (그 커피는 마시기에 너무 뜨겁다.)

이 문장도 문법적으로 맞지만, ‘누가’ 마시기에 뜨거운지 불분명합니다. 만약 “내가” 마시기에 뜨겁다고 말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때 to부정사 앞에 for + 목적격을 추가하여 ‘의미상의 주어’를 밝혀줍니다.

  • The coffee is too hot for me to drink.
    • (그 커피는 내가 마시기에 너무 뜨겁다.)

for + 목적격은 to부정사 행동의 주체가 문장의 주어(The coffee)와 다를 때 사용됩니다.

의미상 주어형태예시
필요 없는 경우 (문장 주어 = to부정사 주어)too … to …He is too weak to stand up.
필요한 경우 (문장 주어 ≠ to부정사 주어)too … for [목적격] to …The problem is too difficult for him to solve.

so ~ that ~ can’t와 의미상 주어

이제 두 가지 개념을 합쳐보겠습니다.

so ~ that ~ can’t 구문을 too … to로 바꿀 때, that절의 주어와 문장 전체의 주어가 다르면, for + 목적격을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예시 1:

  • Original: The soup was so hot that I couldn’t eat it.
    • (수프가 너무 뜨거워서 나는 그것을 먹을 수 없었다.)
  • 분석: 문장 주어는 ‘The soup’이지만, that절의 주어(먹는 주체)는 ‘I’입니다.
  • 변환: The soup was too hot for meto eat.
    • (그 수프는 내가 먹기에 너무 뜨거웠다.)

예시 2:

  • Original: The question was so difficult that students couldn’t answer it.
    • (그 문제는 너무 어려워서 학생들이수 없었다.)
  • 분석: 문장 주어 ‘The question’, that절 주어 ‘students’.
  • 변환: The question was too difficult for students to answer.
    • (그 문제는 학생들이 풀기에 너무 어려웠다.)

이 변환 과정은 so that 관련 문법 문제에서 자주 등장하며,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꼭 익혀두어야 합니다.


so와 such의 차이: so ~ that vs. such ~ that

so ~ that 구문이 원인과 결과를 나타낸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비슷한 의미로 such … that 구문도 사용됩니다.

두 구문의 차이는 so와 such 뒤에 오는 품사에 있습니다.

  • so: 부사. 뒤에 형용사부사가 온다.
  • such: 한정사(형용사). 뒤에 명사 (또는 명사구)가 온다.

1. so ~ that (so + 형용사/부사 + that)

  • He is so smart that everyone likes him. (so + 형용사)
  • He speaks so quickly that I can’t understand him. (so + 부사)

2. such ~ that (such + a/an + 명사 + that)

such는 명사와 결합합니다. 명사 앞에 형용사가 올 수 있습니다.

  • 구조: such + a/an + (형용사) + 명사 + that …
  • He is such a smart boy that everyone likes him.
    • (그는 매우 똑똑한 소년 이라서 모두가 그를 좋아한다.)
    • 비교: He is so smart that
  • It was such a cold day that we stayed indoors.
    • (매우 추운 날 이라서 우리는 실내에 머물렀다.)
    • 비교: It was so cold that

so를 쓸지 such를 쓸지는 뒤에 오는 말이 ‘형용사/부사’인지, 아니면 ‘명사’인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의미는 “매우 ~해서 …하다”로 동일한 원인과 결과를 나타냅니다.

구분뒤에 오는 말구조 예시
so ~ that형용사 또는 부사so cold that… / so fast that…
such ~ that명사 (형용사가 수식 가능)such a cold day that… / such a fast runner that…

so that 구문과 그 변형들을 정확히 이해하면, 원인과 결과, 목적, 불가능의 정도를 훨씬 더 풍부하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so that 구문 정리

오늘 우리는 so ~ that 구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영어 표현을 살펴보았습니다.

첫째, so ~ that은 ‘매우 ~해서 …하다’는 원인과 결과를 나타냅니다. 이는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과는 구별됩니다.

둘째, so ~ that ~ can’t는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는 의미이며, too … to 구문으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이때 too … to 자체에 부정 의미가 있으므로 not을 쓰지 않습니다.

셋째, too … to 구문에서 to부정사의 행동 주체가 문장 주어와 다를 경우, for + 목적격을 사용해 의미상의 주어를 밝혀줍니다.

넷째, so가 형용사/부사와 결합하는 반면, such는 명사와 결합하여 such … that 형태로 원인과 결과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so that 관련 표현들은 문장의 논리를 명확하게 하고, 표현을 간결하게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최신글 목록 – ROOTC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