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 Shall 차이,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Contents Table
참조 (네이버 백과사전 / 사전) : shall
함께읽으면 좋은 글
영어를 배우다 보면 미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will’과 ‘shall’을 모두 접하게 됩니다. 학교에서는 ‘1인칭 주어(I, we)에는 shall, 그 외에는 will을 쓴다’고 배우기도 하지만, 실제 원어민들의 대화나 글을 보면 대부분 ‘will’만 사용하는 것 같아 혼란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그럼 shall은 언제 쓰는 거지?”, “두 개를 바꿔 쓰면 틀린 걸까?” 와 같은 의문이 드셨다면, 이 글을 통해 will shall 차이에 대한 모든 것을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Will과 Shall의 기본적인 의미
가장 먼저, 두 조동사가 가진 핵심적인 뉘앙스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ill shall 차이의 근원은 바로 이 기본 의미에서 시작됩니다.
Will의 핵심: 의지(Volition)와 예측(Prediction)
‘Will’은 현대 영어에서 미래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조동사입니다. 그 핵심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단순 예측: 주어의 의지와 상관없이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객관적인 예측을 나타냅니다.
- It will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것이다.)
- The sun will rise at 6:05 AM. (해는 오전 6시 5분에 뜰 것이다.)
- 주어의 의지: 말하는 시점에 무언가를 하겠다는 주어의 강한 의지나 결심, 약속 등을 표현합니다.
- I will help you with your homework. (네 숙제 도와줄게.) – 즉석에서 결정한 의지
- He will not give up. (그는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 그의 강한 의지
Will의 주요 용법 | 의미 | 예문 |
단순 미래 예측 | 객관적으로 예상되는 미래의 사실이나 사건 | The meeting will start at 10 AM. |
주어의 의지/결심 | 즉석에서 내린 결정, 약속, 고집 등 | Okay, I will buy it. |
요청 |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해달라고 요청 | Will you please close the door? |
Shall의 핵심: 규정(Obligation)과 제안(Suggestion)
반면 ‘Shall’은 ‘will’보다 훨씬 사용 범위가 좁고, 더 격식적이거나 특수한 뉘앙스를 가집니다. 현대 영어에서 ‘shall’은 단순 미래 예측보다는 다른 의미로 쓰일 때가 훨씬 많습니다.
- 제안 또는 의견 묻기: 주로 주어가 **’I’ 또는 ‘we’**일 때, 상대방의 의사를 묻거나 무언가를 제안하는 용도로 가장 흔하게 사용됩니다.
- Shall I open the window? (창문을 열까요?) – 제안
- Shall we dance? (춤추실까요?) – 제안
- 강한 의지 또는 예언 (문어체): 화자의 매우 강한 의지, 약속, 또는 거부할 수 없는 운명 등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매우 격식 있거나 문학적인 표현입니다.
- You shall not pass! (너는 지나가지 못한다!) – 영화 ‘반지의 제왕’의 유명한 대사로, 강력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 They shall pay for what they have done. (그들은 자신들이 저지른 일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 강력한 경고 또는 약속
Shall의 주요 용법 | 의미 | 예문 |
제안/의견 묻기 (1인칭) |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제안하거나 의견을 물음 | Shall we begin the presentation? |
강한 의지/약속 (격식) | 반드시 그렇게 만들겠다는 화자의 강력한 의지 | Justice shall prevail. (정의는 승리할 것이다.) |
규칙/법률 조항 |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나 규정 | All employees shall wear a helmet. |
Will과 Shall, 주어에 따른 전통 문법 규칙
많은 분들이 혼란스러워하는 will shall 차이의 핵심에는 바로 이 전통 문법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오래된 문법책이나 문학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전통 문법에서는 단순 미래를 나타낼 때와 주어의 의지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조동사가 주어의 인칭에 따라 달랐습니다.
구분 | 1인칭 (I, we) | 2, 3인칭 (you, he, she, it, they) |
단순 미래 (예측) | Shall | Will |
의지/약속/명령 | Will | Shall |
- I shall be 30 years old next year. (나는 내년에 30살이 될 것이다.)
- 나의 의지와 상관없는 단순 미래이므로 1인칭 주어 ‘I’와 함께 ‘shall’을 사용했습니다.
- I will pass the exam no matter what. (나는 무슨 일이 있어도 그 시험에 합격할 것이다.)
- 반드시 해내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내므로 1인칭 주어 ‘I’와 함께 ‘will’을 사용했습니다.
- You shall do as I say. (너는 내가 말하는 대로 해야 한다.)
- 화자(I)가 주어(you)에게 명령하는 상황이므로 2인칭 주어 ‘you’와 함께 ‘shall’을 사용했습니다.
이 규칙이 바로 will shall 차이의 가장 고전적인 설명입니다. 하지만 강조하자면, 현대 일상 영어, 특히 미국 영어에서는 이 규칙이 거의 지켜지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will’이 모든 인칭의 단순 미래와 의지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규칙은 교양 차원에서 알아두되, 실제 사용에 너무 얽매일 필요는 없습니다.
Shall이 여전히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경우
그렇다면 ‘shall’은 이제 사라져가는 단어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특정 상황에서는 ‘will’이 대체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하고 강력한 의미를 가집니다. 현대 영어에서 will shall 차이가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지점입니다.
1. 법률, 계약서, 공식 규정 문서
법률 조항이나 공식적인 계약서에서 ‘shall’은 **’~해야만 한다(must)’**는 뜻의 강제적인 의무를 나타냅니다. 이는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임을 명시하는 매우 강력한 표현입니다. 여기서 ‘will’을 사용하면 단순한 미래 예측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의미가 약해지기 때문에 반드시 ‘shall’을 사용합니다.
- The tenant shall be responsible for all damages.
- (세입자는 모든 손해에 대해 책임을 져야만 한다.)
- 이 문장에서 ‘shall’은 세입자의 법적 의무를 규정합니다. ‘will be’라고 쓰면 ‘책임을 지게 될 것이다’라는 단순 예측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문서 종류 | Shall의 의미 | 예시 |
법률/계약서 | 강제적 의무 (must / has a duty to) | Payment shall be made within 30 days. |
공식 규정/매뉴얼 | 반드시 따라야 할 규칙 | All visitors shall sign in at the front desk. |
2. 제안과 질문 (Shall I…? / Shall we…?)
앞서 언급했듯이, 현대 구어체에서 ‘shall’이 가장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경우는 1인칭 주어(I, we)와 함께 쓰여 제안하거나 상대의 의견을 물을 때입니다.
- Shall I get you some water? (물 좀 가져다 드릴까요?)
- ‘Will I get you some water?’라고 하면 “제가 당신에게 물을 가져다주게 될까요?”라는 미래에 대한 질문이 되어 어색합니다.
- It’s getting late. Shall we go home? (시간이 늦어지네요. 우리 집에 갈까요?)
-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며 함께 행동할 것을 제안하는 완벽한 표현입니다.
이처럼 제안의 뉘앙스를 표현할 때는 will shall 차이가 명확하며, ‘shall’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고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참고: Will vs. Be going to
will shall 차이를 공부하는 분들은 종종 ‘be going to’와의 차이점도 궁금해합니다. 미래를 나타낸다는 점은 같지만,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 Will | Be going to |
결정 시점 | 말하는 시점에 즉흥적으로 결정 | 말하기 전에 이미 계획/결정 |
예측 근거 | 주관적인 믿음이나 생각 | 현재의 명확한 증거나 징후 |
예문 (결정) | (전화가 울린다) I’ll get it! (내가 받을게!) | I’m going to watch a movie tonight. (오늘 밤에 영화 볼 거야. – 미리 계획함) |
예문 (예측) | I think he will be a great leader. (내 생각에 그는 훌륭한 리더가 될 거야.) | Look at those dark clouds. It’s going to rain. (저 먹구름 좀 봐. 비가 오겠는데.) |
Will과 Shall의 차이점 총정리
복잡해 보였던 will shall 차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현대 일상 영어에서는 대부분 ‘Will’을 사용합니다. 미래 예측, 의지 표현 등 거의 모든 상황에서 모든 인칭에 ‘will’을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Shall’은 특정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 “Shall I…?” / “Shall we…?” 형태로 제안하거나 의견을 물을 때.
- 법률, 계약 등 매우 공식적인 문서에서 ‘~해야만 한다’는 강한 의무를 나타낼 때.
- 문학 작품 등에서 강력한 의지나 예언을 표현할 때.
따라서 일반적인 회화나 글쓰기에서는 ‘will’을 중심으로 사용하시되, 정중하게 무언가를 제안하고 싶을 때나 법률과 같은 전문적인 글을 접할 때는 ‘shall’의 특별한 의미를 기억하시면 됩니다.